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extraction of forest information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ts change in Zhejiang Provi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ANG, Yang,LI, Y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산림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원격탐사 응용의 주요 분야 중 하나이다. 다양한 시간 위상(time phase)의 Landsat TM/ETM+를 데이터소스로 하고 객체 지향과 다단계 의사결정나무에 기반을 둔 분류방법을 이용하여, 저장성 2000년, 2005년 및 2010년의 산림식생 피복도를 획득하였다. 현장 표본점에 대한 검증을 거쳐, 2010년 분류 정밀도는 92.76%에 달하였으며 정밀도 요구를 만족하였다. 저장성 산림정보의 신속 추출방법을 소개하였다. 즉 다양한 산림유형의 Landsat TM 영상 원본 밴드(band)와 LBV 변환값 및 각종 식생지수의 여러 시간 위상에서의 차이를 통계하였으며, C5 의사결정나무 훈련을 거쳐 적합한 규칙과 역치를 선정하여 산림정보 추출을 실현하였다. 그 결과, 객체 지향 분할과 의사결정나무 알고리즘의 결합을 산림정보 추출의 효율적인 방법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3기 산림 테마도(thematic map)를 통해 공간 중첩 분석을 진행하여, 산림자원 동적 변화의 공간분포를 획득하였으며,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임지변화의 유형 및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장성 산림자원 변화는 주로 저장성의 서북 산간지역, 저장성 중남 산간지역 및 연해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해당 결과는 유관부문의 의사결정에 근거를 제공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96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andsat TM,forest information extraction,forest cover change,spatial distribution,Landsat TM,산림정보 추출,산림자원 변화,공간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