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U, Xin-fang,LUO, Yi-ying,ZHUANG, Da-fang,WANG, Shi-kuan,WANG, Yong |
초록 |
지구관측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원격탐사 영상 해상도는 점차 향상되었으며, 원격탐사 영상을 기반한 변화 검출이 전통적 화소(pixel)급의 검출에서 객체 지향 검출로 전환하는 것을 촉진하였다. 객체 지향의 변화검출 방법이 토지피복 변화 검출에서의 유효성과 적합성을 탐구하기 위해, 객체 지향의 변화검출 방법과 일반적 변화검출 방법에 대해 비교 평가하였다. 네이멍구 어얼둬쓰와 바오터우 지역을 시험구로 하고 2002년 및 2011년의 Landsat TM/ETM+ 영상을 데이터소스로 선정하여, 이미지 대수적 연산, 이미지 변환, 이미지 공간 구조 특징과 객체 지향의 다중 변화검출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연구지역의 2기 토지피복에 대한 변화검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객체 지향의 변화검출 방법은 전체적 정밀도, kappa 계수에서 뚜렷한 우월성을 나타내고 전체적 정밀도는 모두 87.42% 이상이며, 특히 객체 지향의 변화 벡터 분석방법 정밀도는 91.56% 로서 가장 높다. 이외, 주성분 차이법도 양호한 검출 효과를 나타내며 전체적 정밀도는 87.83%이다. 전체적 정밀도가 비교적 높은 3가지 방법이 다양한 토지피복 변화 유형에서의 검출효과를 연구한 결과: 연구지역의 다양한 주요 토지피복 변화 유형에 대해, 객체 지향의 변화 벡트 분석법은 모두 비교적 이상적인 검출효과를 나타내며 평균 정밀도는 약 85% 이다. 동시에 객체 지향보다 계속 우수한 스펙트럼 벡터 유사법은 거주지와 한지에 관련한 변화 유형이 가장 뚜렷하다; 주성분 차이법이 다양한 토지피복 변화 유형에 대한 검출효과 차이는 매우 크며 그중 4가지 변화 유형의 정밀도는 심지어 93%에 달하였지만, 검출 초지와 나지 사이 전환 정밀도는 매우 낮으며 심지어 8.69%밖에 안 되었다; 광산업 용지에 관련한 토지피복 변화 유형에서, 객체 지향 변화 벡터 분석법의 정밀도는 주성분 차이법에 비해 뚜렷이 높으며, 거주지 관련 변화 유형에서 주성분 차이법은 어느 정도의 우위성을 갖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