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U, Rong-jie,ZHANG, Jie,YAN, Qiu-shuang,ZHAO, Zong-ze,LIU, Shan-wei,MA, Yi |
초록 |
1982, 1991, 2001년의 Landsat 영상 자료와 2012년의 HJ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푸젠성 내해 '4개 강과 1개 개울'(싸이장, 민장, 무란시, 진장과 지우룽장)의 하구에 있는 해안 변화를 감측하고 시공간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싸이장의 바다 유입구 양측에 있는 해안선은 전반적으로 바다를 향해 추진되었으며, 30년 이래 육지 면적이 7.46 km 2 증가하였다; 민쨩강 해안은 기본적인 안정 상태에서 전형적인 안정 상태로 변했으며, 30년 동안 육지 면적이 13.43 km 2 증가하였다; 무란시 바다 유입구의 해안은 기본적으로 안정적이었으며, 변화가 작았다; 연구를 진행한 시간적 구간 내에서, 진장 바다 유입구의 해안이 바다로 추진되는 속도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2001~2012년 사이 해안선이 바다를 향해 추진되는 평균 속도가 30.34m/a에 달하였다; 지우룽장 하구와 진장 하구의 변화 추세가 비슷했으며, 30년이래 해안 육지 면적이 12.43km 2 증가하였으며, 변화가 주로 바다 유입구 양측에서 발생하였다; 5개 강 입구에서 민장강 입구, 지우룽강 입구와 진장강 입구의 변화가 컸고, 무란시 입구의 변화가 가장 작았다. 기타 관련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도 상술한 하구의 변화가 주로 해상 매립에 의해 초래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