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xpression profiles of three antimicrobial peptide genes in Litopenaeus vannamei induced by microcystin (MC-L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Zhi,FU, Yi-ming,LI, Xiang,LIU, Feng-song,LIU, Li-p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남조류 수화로 인해 대량의 시스틴이 생성되는데 그중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s, MC-LR)의 위해성이 가장 크다. 기존의 연구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은 새우류를 포함한 각종 수생 생물의 성장 및 번식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새우의 면역계에도 손상을 입힌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형광 정량 PCR(qRT-PCR) 기술을 통하여 마이크로시스틴 MC-LR 작용 조건에서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체액성 면역 내 3가지 주요한 항균성 펩타이드 유전자의 발현량 변화 상황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Penaeidin 3과 ALF는 MC-LR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았으며, Crustin 유전자의 발현량은 다소 상향 조절되었지만 변화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비브리오 앵길라룸(Vibrio anguillarum)의 재주입을 통하여 MC-LR 영향 조건에서 3가지 항균성 펩타이드의 항균 능력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 3가지 항균성 펩타이드는 상대적으로 일치한 변화 특성(즉 발현량은 모두 재주입하기 전보다 하향 조절되고 4h 지난 뒤 점차 상향 조절되며, 또한 MC-LR 처리조 내에서의 발현량은 대조군에서보다 낮은 특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MC-LR는 직접 및 간접적인 방식으로 3가지 항균성 펩타이드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면역계에 손상을 입혀 새우의 병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켰다. 그리고 Microcystis aeruginosa 수화가 장기적으로 발생하는 새우 양식장에서 생우의 생존율이 낮은 것도 마이크로시스틴이 새우의 항균성 펩타이드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상관성이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2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itopenaeus vannamei,microcystins,humoral immunity,antimicrobial peptides,흰다리새우,마이크로시스틴,체액성 면역,항균성 펩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