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rogress in the research on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and tumor microenvironment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中國腫瘤生物治療雜誌 = Chinese journal of cancer biotherapy |
ISSN | 1007-385x, |
ISBN |
저자(한글) | GU, Yan,CAO, Xue-tao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종양 미세환경의 구성과 종양 발생 발전과의 상관성은 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면역계통은 종양 미세환경의 형성에 참여하고 또한 그중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 선천성 면역세포는 종양의 면역 감시 및 면역 내성의 형성에 이중 조절 기능이 있다. 패턴 이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s,PRRs)는 선천성 면역 세포가 바이러스 및 세균 등 병원체를 인식하여 면역과 염증 과정의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며 또한 종양 면역 과정에서 이중 조절 기능을 한다. 즉 숙주균과 기생균의 균형을 유지하고 사멸 및 돌연변이 세포를 제거하여 종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성 염증을 유도하고 염증성 미세환경을 형성하여 종양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 신호를 식별하고 선천성 면역의 살해 및 그에 따르는 면역 응답을 활성화하여 종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에서 방출되는 내인성 배합체도 식별하여 억제성 세포아군 및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또한 종양의 면역 내성 및 면역 억제를 유도한다. 그 외, 각종 종양 세포는 각종 PRRs를 발현하며, 또한 그 PRR 전달 경로는 종양의 발생 및 발전에 관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종양 미세환경 내 PRRs 및 배합체의 발현 특성을 간단하게 서술하였으며 또한 PRRs가 종양 면역 조절 과정에서 발휘하는 이중 조절 기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종양 미세환경 형성의 인식 및 종양 면역 치료의 설계에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91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tumor,tumor microenvironment,pattern recognition receptor,innate immunity,immune regulation,immune therapy,종양,종양 미세환경,패턴 인식 수용체,선천성 면역,면역 조절,면역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