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dentification and culture condition optimization for a marine extracellular melanin producing bacteriu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海洋學學報 = Journal of applied oceanography
ISSN 2095-497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IAN, Xin-xin,WANG, Chen,CAO, Wei,QU, Ling-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중국 산둥(Shandong) 근해 해역 퇴적물의 미생물로부터 세포외 멜라닌(melanin) 고생성 균주 QJNY82를 선별하였으며, 해당 균주 균집에 대한 형태 특성 관찰, 생리생화 검사 및 16S rDNA 서열 측정을 통하여 해당 균주는 photobacterium sp. 세균임을 초기 확정하였다. 균주 QJNY82의 세포외 생성물에 대해 적외선 분광법(Infrared Spectroscopy, IR) 분석을 진행하여 해당 세균의 세포외 생성물인 멜라닌을 얻었다. 정화한 후의 멜라닌 적외선 스펙트럼 지도는 표준 멜라닌의 적외선 스펙트럼 지도와 일치하였으며, 해당 세균이 생성한 멜라닌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표준 멜라닌과 일치하였다. 해당 해양균주는 멜라닌을 생성하는 속도가 빠르고, 생산량이 높으며, L-타이로신(L-Tyrosine)의 유도가 불필요한 특징을 갖고 있다. L-타이로신 유도를 거친 후 균주 QJNY82 세포외 멜라닌의 생산량을 뚜렷하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L-타이로신의 함량이 0.75 g/dm 3 , 염도가 30, pH값이 8.0, 온도가 28℃인 조건에서 균주의 멜라닌 생산량은 L-타이로신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3.5배였고 그 생산량은 1.325g/dm 3 에 달하였다. 멜라닌을 생성하는 특성을 갖고 있는 균주 QJNY82는 photobacterium sp.의 하나의 새로운 균종 자원으로 될 것이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3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arine geology,melanin,16S rDNA,photobacterium sp.,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해양생물학,멜라닌,16S rDNA,photobacterium sp.,발효 조건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