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골재 부산물의 용토재로서 활용을 위한 기초 특성 분석으로서 전국 21개소의 골재 업체를 대상으로 골재 생산시 생하는 슬러지나 석분 등 골재 부산물의 화학성과 물리성 및 광물 조성을 알아 보는데 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골재 부산물의 pH는 전라도 지역의 JH, DA 업체를 제외하고 모두 8.41~10.97 정도로 높았으며, EC는 평균 $167.9{ mu}S ;cm^{-1}$ 이고 전라도 지역은 대부분 $33.0{ sim}122.4{ mu}S ;cm^{-1}$ 정도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경상도 지역은 $169.5{ sim}639.0{ mu}S ;cm^{-1}$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2. 유기물 함량은 대부분 $2.9{ sim}5.0g ;kg^{-1}$ 이며, 강원도 지역의 GG 업체의 경우 $11.27g ;kg^{-1}$ 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T-N의 경우, 0.01~0.11 % 정도이고 $NH_4{^+}-N$ 의 경우, 대부분 지역은 $14.0{ sim}67.2mg ;kg^{-1}$ 수준이었으나 전라도 지역은 $1.03{ sim}3.00mg ;kg^{-1}$ 수준을 보였다. $NO_3{^-}-N$ 의 경우, 대부분 지역은 $14.0{ sim}67.2mg ;kg^{-1}$ 수준이었으나 전라도 지역은 $1.0{ sim}3.2mg ;kg^{-1}$ 수준을 보였다. $P_2O_5$ 의 경우, 강원도의 $10.2mg ;kg^{-1}$ 에서 전라도 $24.8mg ;kg^{-1}$ 까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Ca^{2+}$ , $Mg^{2+}$ , $K^+$ 및 $Na^+$ 의 각 평균은 $2.299cmol_c ;kg^{-1}$ , $0.472cmol_c ;kg^{-1}$ , $0.021cmol_c ;kg^{-1}$ , $0.055cmol_c ;kg^{-1}$ 이며 $Ca^{2+}$ 의 경우, 최고값인 경상도 DE 업체의 $6.385cmol_c ;kg^{-1}$ 부터 최저값인 전라도 JH 업체의 $0.742cmol_c ;kg^{-1}$ 사이의 범위를 보였다. $Mg^{2+}$ 의 경우 최고값인 전라도 YS 업체의 $1.850cmol_c ;kg^{-1}$ 부터 최저값인 충청도 JK 업체의 $0.006cmol_c ;kg^{-1}$ 사이의 범위를 보였다. 양이온교환용량은 평균 $7.6cmol_c ;kg^{-1}$ 으로 경상도에서 $17.3cmol_c ;kg^{-1}$ 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라도에서 $2.2cmol_c ;kg^{-1}$ 으로 가장 낮았다. 3. 중금속 함량은 모든 항목에서 환경부에서 고시한 농경지 오염 우려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Cd의 경우, 평균 $0.011mg ;kg^{-1}$ 이며 최저 값인 강원도 DM 업체의 $0.003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경상도 DH 업체의 $0.062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Cr^{6+}$ 의 경우, 평균 $0.068mg ;kg^{-1}$ 이며 최저 값인 강원도 DM 업체와 SS 업체의 $0.037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경기도 KG 업체의 $0.169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Cu의 경우, 평균 $0.419mg ;kg^{-1}$ 이며 최저 값인 강원도 DM 업체와 SS 업체의 $0.000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충청도 SB 업체의 $1.072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Ni의 경우, 평균 $3.513mg ;kg^{-1}$ 이며 최저 값인 전라도 DA 업체의 $0.045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강원도 GG 업체의 $11.980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Zn의 경우, 평균 $0.588mg ;kg^{-1}$ 이며 최저 값인 경상도 SU 업체의 $0.014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충청도 SB 업체의 $1.086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Pb의 경우, 평균 $0.467mg ;kg^{-1}$ 이며 최저 값인 강원도 DM 업체의 $0.008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충청도 SB 업체의 $1.261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Fe의 경우, 평균 $33.815mg ;kg^{-1}$ 이며 최저 값인 경상도 SU 업체의 $0.805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경기도 KG 업체의 $106.400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Mn의 경우, 평균 $18.427mg ;kg^{-1}$ 이며 최저 값인 강원도 SS 업체의 $0.703mg ;kg^{-1}$ 에서부터 최고 값인 충청도 SB 업체의 $49.140mg ;kg^{-1}$ 사이의 값을 보였다. 4. 골재 부산물의 토성은 평균적으로 대부분 모래가 50 % 이하이며 미사가 50 % 이상인 미사질양토(SiL)인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