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잠재지문의 효과적인 현출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문과 관계되는 땀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땀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단백질은 $46{ sim}122{ mu}L/mL$ 로 개인차가 있고, 검출된 아미노산의 분포도 개인에 따라 그 차이가 있으며, 주로 glycine( $4.7{ sim}19.0{ mu}L/mL$ ), threonine( $1.3{ sim}26.0{ mu}L/mL$ ), alanine( $0{ sim}13.5{ mu}L/mL$ ), valine( $0{ sim}8.0{ mu}L/mL$ ) 그리고 histidine( $0{ sim}13.2{ mu}L/mL$ ) 등이 검출되었다. 양이온의 경우 Na이 3078.6~4815.6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K이 267.3~823.9 ppm이었으며, Ca(15.4~44.7 ppm)과 Mg(4.13~8.96 ppm)으로 조사되었다. 음이온 중에는 $Cl^-$ (2167~4073 ppm)와 $F^-$ (454~582 ppm)가 주로 검출되었다. 미량 원소는 Rb(132~824 ppb), Zn(90~1846 ppb)와 Cu(17~415 ppb)가 주로 검출 되었으며, 그 양 역시 개인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므로 지문 현출에 다양한 방법이 요구되어 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