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ological Responses of Four Energy Willow Clones to Soil Hg2+ Stres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西北植物學報 = Acta botanica boreali-occidentalia sinica |
ISSN | 1000-4025, |
ISBN |
저자(한글) | Wang, Xiaofeng,Zhang, Wenhui,Cui, Yuchua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일년생 에너지 버드나무(energy willow)의 4개 클론(N2, N4, NC, NE) 유묘를 재료로 하고 분재 실험(potting test)을 이용하여 대조군, 경도(Light level), 중간 정도(moderate level), 중도(severe level)의 Hg 2+ 스트레스 조건에서 4개 에너지 버드나무 클론 유묘의 성장 과정 중 생리적 및 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하였으며 그것이 Hg 2+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응답과 내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토양 내 Hg 2+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4개 클론 잎몸 중의 보호 효소 POD, SOD와 CAT 활성은 모두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각 클론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는데 그 중 NC의 POD와 CAT 활성은 중도 스트레스 조건에서 여전히 대조군보다 높았다. (2) 각 클론 잎몸 중의 삼투압 조절물질인 수용성 단백질과 프롤린(Pro) 함량은 모두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모두 경도 혹은 중간 정도의 스트레스 조건에서 최대 피크에 도달하는데 수용성 단백질 함량의 변화폭이 더 컸고 NC와 NE 클론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3) 토양에서 Hg 2+ 스트레스가 심화함에 따라 N2, N4와 NE 클론의 근계 활성은 모두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 NC 근계 활성은 경도 스트레스 조건에서 약간 증가하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중간 정도 및 중도 스트레스 조건에서 뚜렷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4개 클론 잎몸의 말론디알데히드(MDA) 함량은 모두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4) 경도 Hg 2+ 스트레스 조건에서, N4와 NE의 엽록소 함량과 Chl a/Chl b 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N2와 NC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중간 정도와 중도 스트레스 조건에서 4개 클론의 엽록소 함량과 Chl a/Chl b 비는 빠르게 감소하였다. 그들이 각 클론에서의 감소 속도에는 일정한 차이가 있었는데 그 중 N4의 감소 폭이 가장 컸고 NC가 가장 작았다. (5) 퍼지 소속 함수법(Fuzzy Membership Function Method)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각 클론이 Hg 2+ 에 대한 내성은 NC gt;NE gt;N4 gt;N2인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정도의 Hg 2+ 스트레스 조건에서 4개 클론은 자신의 보호 효소 활성, 항산화 물질인 GSH 함량과 유기 삼투 조절 물질(organic osmolytes)의 함량을 증가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손상을 완화함으로써 Hg 2+ 에 일정한 내성을 보였는데 그 중 클론 NC의 내성이 비교적 강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0776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energy willow,Hg lt,sup gt,2+ lt,/sup gt,stress,root activity,antioxidant,에너지 버드나무,Hg lt,sup gt,2+ lt,/sup gt,스트레스,근계 활성,항산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