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lsquo;헤이펑(Heifeng) 1호 rsquo; 달단종메밀(tartary buckwheat)을 재료로 하고 분재 테스트를 거쳐 황산아연, 황산망간, 살리실산과 프롤린 등 4가지 화학 조절제 침종이 정상적인 관개와 가뭄 스트레스 조건에서 달단종메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달단종메밀 가뭄 내성을 향상하는 최적의 화학 조절제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그 결과, (1) 정상적인 수분 조건에서, 화학 조절제 침종은 서로 다른 정도로 달단종메밀의 잎 면적, 풀높이(plant height), 총 뿌리 길이, 뿌리 표면적, 뿌리 체적, 모 지수(seedling index), 잎몸의 상대적 수분 함량, 엽록소 함량, 유리 프롤린 함량, 수용성 당 함량, 근계 활성, SOD 활성, POD활성과 광합성 속도 등을 향상하였다. 그 중 황산아연의 처리(treatment, 침종)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살리실산이 그 다음이었는데 둘은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잎몸의 상대적 전도율, MDA 함량은 대조군보다 훨씬 낮아졌다. 황산아연과 살리실산 침종은 달단종메밀로 하여금 대조군의 단일 식물의 이삭 수가 각각 31.8%, 21.0% 증가하였고 단일 식물 알갱이 수를 각각 38.0%, 28.9% 증가하였으며 백입중(100-grain weight)은 각각 8.9%, 4.2% 증가하였다. (2) 가뭄 스트레스와 정상적인 수분 조건에서, 각 조절물질로 침종 처리한 달단종메밀 유묘의 잎 면적, 줄기 굵기, 전체 뿌리 길이, 뿌리 표면적, 뿌리 체적, 뿌리 무게, 잎몸의 상대적 수분 함량, 엽록소 함량, 유리 프롤린 함량, 수용성 당 함량, 근계 활성, SOD 활성, POD 활성과 광합성 속도는 모두 일정하게 감소하였으나 서로 다르게 처리하였을 때 감소 폭도는 달랐다. 그 중 깨끗한 물에 침종하였을 때(대조군) 감소 폭도가 가장 컸으나 잎몸의 상대적 전기 전도율과 MDA 함량은 뚜렷이 증가하였고 깨끗한 물에 침종하였을 때의 증가 폭이 가장 컸다. (3) 가뭄 스트레스 조건에서 황산아연 및 살리실산 침종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둘은 달단종메밀 잎몸의 SOD 함량, POD 함량, 광합성 속도, 잎 면적, 전체 뿌리 길이, 엽록소 함량, 근계 활성을 증가하게 하였으며 그 중 잎몸의 상대적 수분 함량은 각각 79.9%와 70.9% 증가하였다. 또 유기 프롤린 ?량은 각각 32.2%와 36.6%를, 수용성 당의 함량은 각각 66.0%와 43.9%를, 단일 식물의 이삭 수, 낱알 수, 백알에서 차지하는 중량(100-seed weight)은 각각 38.6%. 36.2%, 40.4%와 39.0%, 10.7%, 6.9% 증가하였다. 연구를 거쳐, 정상적인 수분 조건과 가뭄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에서 화학 조절제 물질을 이용한 침종은 달단종메밀의 광합성 생리적 특성과 가뭄 내성을 뚜렷이 향상시키며며 황산아연과 살리실산의 처리 효과를 제고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