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Application of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to the Factors Affecting the Ocean Primary Productivit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漁業科學進展 = Progress in fishery sciences
ISSN 2095-986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UAN, Jiong-hui,YANG, Zhen-jie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엽록소a의 농도는 식물성 플랑크톤(phytoplankton) 바이오매스의 중요한 지표로서 해양에서 일차 생산력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해양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엽록소a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화학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해양 일차 생산력의 지배적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데이터를 표준화한 후, 변수 중요도 투영과 T 2 타원도 등 보조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성분을 추출하고 부분 최소 제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빈영양화 촨다오(Chuandaowai) 외부해역의 엽록소a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산염과 무기질소였으며, 그 다음으로 pH, 염도와 수온이었고,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용존산소였다. 그러나 부영양화 사디커우(Shadikou) 해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화학적 산소 요구량과 용존산소였으며, 수온도 해양 일차 생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무기질소는 중요한 요인에 속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부분 최소 제곱 회귀법에 의한 엽록소a 영향 요인 연구기법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조건에서 수학 모델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다원 회귀 분석 시 각 물리화학적 환경 요인 사이에 존재하는 다중 상관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기법은 비교적 높은 상관 분석 정확성을 갖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0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Ocean primary productivity,Physicochemical environment factors,Eutrophic,Oligotrophic,부분 최소 제곱 회귀법,해양 일차 생산력,물리화학적 환경 요인,부영양화,빈영양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