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엽록소a의 농도는 식물성 플랑크톤(phytoplankton) 바이오매스의 중요한 지표로서 해양에서 일차 생산력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다. 해양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엽록소a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화학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해양 일차 생산력의 지배적 요인을 찾아내고자 한다. 데이터를 표준화한 후, 변수 중요도 투영과 T 2 타원도 등 보조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성분을 추출하고 부분 최소 제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빈영양화 촨다오(Chuandaowai) 외부해역의 엽록소a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산염과 무기질소였으며, 그 다음으로 pH, 염도와 수온이었고,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용존산소였다. 그러나 부영양화 사디커우(Shadikou) 해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화학적 산소 요구량과 용존산소였으며, 수온도 해양 일차 생산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무기질소는 중요한 요인에 속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부분 최소 제곱 회귀법에 의한 엽록소a 영향 요인 연구기법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조건에서 수학 모델을 구축할 수 있으며, 다원 회귀 분석 시 각 물리화학적 환경 요인 사이에 존재하는 다중 상관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기법은 비교적 높은 상관 분석 정확성을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