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ENG, Xiang-rong,FU, Zhong,XI, Yan-juan,MU, Jian-dong,LI, Yan |
초록 |
2011년 5~7월 사이에 친황다오 부근 해역에서 실행한 야광충(Noctiluca scintillans)과 관련 환경 요인(Environmental factors)에 대한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회색 관련 분석(Grey relationship analysis) 방법으로 친황다오 근안 해역의 물리 화학적 요인과 야광충 밀도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해당 조사에서는 각 조사 구역의 야광충 밀도(ind/L)X 0 = {x 0 (k)?k=1, 2…, 24}를 참고적 서열로 하고 용해성 무기질소 DIN(NO 2 -N, NH 4 -N, NO 3 -N), 인산염(PO 4 -P), 규산염(SiO 2 -Si), 엽록소(Chl-a), COD, BOD 5, 석유탄화수소, 수온, 염도, 투명도, pH, 부유식물 풍도, 부유식물 밀도 등 X i = {x i (k|k=1, 2…, 24; i=1, 2…, 16)}을 비교 서열로 하였다. 실험 결과, 5~7월 사이에 친황다오 근안 해역에서 부유식물의 분포 밀도, COD와 바닷물 온도가 야광충 개체군의 수량 변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해당 환경 요인을 적조(red tide)시 친황다오 해역의 야광충을 감측하고 예보하는 주요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