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Grey relationship analysis for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Noctiluca scintillans density in Qinhuangdao coastal ar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漁業科學進展 = Progress in fishery sciences
ISSN 2095-986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ENG, Xiang-rong,FU, Zhong,XI, Yan-juan,MU, Jian-dong,LI, Y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2011년 5~7월 사이에 친황다오 부근 해역에서 실행한 야광충(Noctiluca scintillans)과 관련 환경 요인(Environmental factors)에 대한 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회색 관련 분석(Grey relationship analysis) 방법으로 친황다오 근안 해역의 물리 화학적 요인과 야광충 밀도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해당 조사에서는 각 조사 구역의 야광충 밀도(ind/L)X 0 = {x 0 (k)?k=1, 2…, 24}를 참고적 서열로 하고 용해성 무기질소 DIN(NO 2 -N, NH 4 -N, NO 3 -N), 인산염(PO 4 -P), 규산염(SiO 2 -Si), 엽록소(Chl-a), COD, BOD 5, 석유탄화수소, 수온, 염도, 투명도, pH, 부유식물 풍도, 부유식물 밀도 등 X i = {x i (k|k=1, 2…, 24; i=1, 2…, 16)}을 비교 서열로 하였다. 실험 결과, 5~7월 사이에 친황다오 근안 해역에서 부유식물의 분포 밀도, COD와 바닷물 온도가 야광충 개체군의 수량 변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해당 환경 요인을 적조(red tide)시 친황다오 해역의 야광충을 감측하고 예보하는 주요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501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rey relationship analysis,Noctiluca scientillans,Population density,Environmental factors,회색 관련 분석,야광충,개체군 밀도,환경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