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문학 검열연구의 통계적 접근을 위한 시론 - 『조선출판경찰월보』와 식민지 조선의 구텐베르크 은하계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외국문학연구= Foreign literature studies |
ISSN | 1226-444x, |
ISBN |
저자(한글) | 박헌호,손성준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0-01-01 |
초록 | 한국 근대문학 연구에서 일제의 검열은 대전제로 관습적으로 언급돼왔지만 그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글은 한국 근대문학의 검열연구를 보다 실증적이고 통시적인 차원에서 검토하기 위한 예비 작업으로, 1928년부터 38년까지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에서 발행했던 비밀자료집 『조선출판경찰월보』에 대한 통계작업을 시도하였다. 『월보』 의 전체적인 체제와 구성원리의 변화과정을 개괄하였고, 분량과 구성원리, 그리고 '집무자료' 등을 포함한 내적 변화의 동력을 통해 『월보』 의 발행시기를 3단계로 나누었다. 아울러 '출판력'(Press Power)이라는 개념으로 식민지 조선에서 벌어졌던 인쇄출판 행위의 총량을 추적, 비교함으로써 출판 상황을 민족 단위로 호명하는 오래된 습관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특히 식민지 조선의 '구텐베르크 은하계'가 몹시 초라했으며, 조선은 근대 텍스트의 바다에 섬처럼 떠있는 고립된 존재였다는 사실도 논증했다. 식민지라 함은, 국토와 정치상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지식과 표현의 문제이기도 했던 것이다. 검열연구는 일제의 억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이자, 우리 안에 새겨진 자기굴절의 근원을 탐색하는 일이기도 하다. 『월보』 에 대한 연구는 그러한 자기굴절의 역사를 물질적으로, 통계적으로 접근할 통로는 열어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탐구영역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36685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거열,『조선출판경찰월보』,식민지,출판력,'조선의 텍스트성',구텐베르크 은하계,censorship,The Publication Police Monthly of Korea,colony, Press Power,'textual nature of Chos #x014F,n',The Gutenberg Galax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