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NG, Ke-hong,CHU, Feng-you,ZHU, Ji-hao,MA, Wei-lin,DONG, Yan-hui |
초록 |
남중국해 북부에 있는 냉천 탄산염암(cold-seep carbonate)은 피복 구조와 공극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만아니라 풍부한 생물학적 유적을 포함하고 있다. 전자 탐침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구조 단원(피복 구조와 기질)에 부착한 자생적 탄산염 광물 및 석회질 생물의 껍데기에 대해 Mg/Ca와 Sr/Ca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생적 탄산염 광물의 Mg/Ca 변화 범위는 0.50~39.19mmol/mol로서 그 평균값은 12.50mmol/mol이었고, Sr/Ca의 변화 범위는 0.06~2.90mmol/mol로서 그 평균값은 0.53mmol/mol이었다; 석회질 생물의 껍데기의 Mg/Ca의 변화 범위는 1.14~84.57mmol/mol로서 그 평균값은 24.57mmol/mol이었고, Sr/Ca의 변화 범위는 0.77~1.84mmol/mol로서 그 평균값은 1.08 mmol/mol이었다. Mg/Ca와 Sr/Ca의 관계는 자생적 탄산염 광물이 모두 낮은 값에서 중간 값의 Mg/Ca, 낮은 값의 Sr/Ca 비율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분명한 그룹 분화 현상이 없었다; 하지만 석회질 생물의 껍데기는 해당 암석의 구조적 위치에 따라 뚜렷한 그룹 분화 현상을 나타냈는데, 기질에 부착한 석회질 생물의 껍데기는 높은 값의 Mg/Ca, 중간 값의 Sr/Ca 비율 특성을 가지고 있었고 피복된 석회질 생물의 껍데기는 낮은 값의 Mg/Ca, 중간 값의 Sr/Ca 비율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탄산염 광물 및 석회질 생물의 껍데기의 Mg/Ca 특성에 따르면, 기질에 위치한 석회암 껍데기는 메탄(methane)이 스며나오는 환경조건에서 석회화되었고 무기 탄산염 광물의 생성은 그 Mg/Ca의 비율에 영향을 주었다; 이와 반대로 피복된 석회질 생물의 껍데기는 메탄이 누출되지 않은 환경조건에서 석회화되었는데 생물 교란(bioturbation)과 생물 관개(bioirrigation) 등 작용으로 말미암아 피복된 덩어리 모양으로 탄산염암 내에 보존되어 있었다. 암석 형성과정에서의 Sr/Ca의 변화특성에 따르면, 초기 형성된 기질에 부착한 석회질 생물 껍데기의 Sr/Ca은 현재에 비해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 결과는 메탄 누출 정보에 기반한 지구화학적 지표의 제시 등 방면에 일정한 의미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