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Qiang,WANG, Qian,DONG, Mei,WANG, Xiao-juan,ZHANG, Liang,JIN, Liang |
초록 |
유리구슬 격실 배양 시스템(glass bead split-compartment culture system), H형 격실 배양 시스템(two-compartment H-bridge cultivation system), 뿌리 제거실 배양 시스템(root exclusion compartment culture system), 공여식물의 2객실 체외 배양 시스템(in vitro mycorrhizal donor plants culture system), 수지상체 균근(arbuscular mycorrhizae, AM) 진균과 일반 식물 뿌리기관의 이중 배양 시스템(dual axenic culture system), AM진균과 Ri T-DNA 형질전환형 뿌리의 이중 단포자 무균 배양 시스템(dual monoaxenic culture system), AM 진균과 Ri T-DNA 형질전환형 뿌리의 이중 배양에 의해 개선된 객실 단포자 배양 시스템(improved split-compartment monoaxenic culture system) 등 7가지 서로 다른 객실 배양 장치를 이용하여, AM진균의 배양 유형 및 그 응용을 체계적으로 논술하였다. 그 중, 유리구슬 격실 배양 장치를 이용하여 AM진균과 배양 기질을 더 쉽게 분리할 수 있었으며, 대량의 순수한 AM 진균의 번식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AM 진균에 의한 무기원소와 미량원소의 흡수를 연구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H형 객실 배양 시스템과 뿌리 제거실(root exclusion compartment culture system, RECs) 배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속적이고, 절단 가능한 공생균 뿌리의 네트워크(root exclusion compartment culture system, RECs)를 얻을 수 있었으며, 해당 시스템을 식물-식물, 식물-곤층 사이의 타감작용(allelopathy)에 의한 정보 교류를 연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었다. 공여식물의 2객실 배양 시스템은 AM진균이 숙주식물의 단일 재배(monoculture)와 혼합 재배(mixed cropping) 조건에서의 생장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AM진균과 식물 뿌리기관의 이중 배양 시스템은 AM진균의 감염과정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매우 편리하였으며, 동시에 순수 배양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AM진균과 Ri T-DNA 형질전환형 뿌리의 이중 단포자 무균 배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AM진균의 순수한 균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해당 시스템은 AM진균의 유전, 생리, 생화학 등 특성을 연구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기법이었다. AM진균과 Ri T-DNA 형질전환형 뿌리의 이중 단포자 무균 배양 시스템을 기반으로, 균사 생장실에서의 배양기를 대체하고 뿌리 배양실에서 적당한 양의 탄소원을 보충할 수 있었으며, AM진균의 번식체를 여러 번 수확할 수 있었다. 형질전환형의 개선된 이중 배양 시스템은 AM진균 포자 접종제의 생산량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법이었다. 상기 내용을 종합한 결과, AM진균의 객실 배양 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이미 뚜렷한 성과를 거두었으며, 개체, 개체군, 군락 등 다양한 계층에 따른 균근 생태학을 연구하는데 있어 근거를 제공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