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mpacts of organic manure partial substitution for chemical fertilizer on cotton yield, soil microbial community and enzyme activities in mono-cropping system in drip irrigation condit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TAO, Lei,ZHE, Gui-xin,LIU, Tao,TANG, Cheng,LI, Jun-hua,LIANG, Yong-ch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유기비료 사용은 작물의 증산, 토양 유기질 증가 및 토양 생물학적 형질 개선의 효과적인 조치이다. 밭에서 점적관개하는 조건에서 토양효소학과 미생물 평판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상규 화학비료시비(CF)를 20%~40% 감소하고 3,000, 6,000kg/hm 2 의 유기비료를 배합하여 시비하는 경우 목화 생산량, 토양 미생물 수량 및 토양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CF 사용량을 20%~40% 감소하는 조건에서 점적관개 목화밭에 3000, 6000kg/hm 2 의 유기비료를 배합시비하는 경우, CF 처리와 비슷한 수준의 생산량(4,945-4,978 kg/hm 2 )을 획득할 수 있고 유기비료 시비와 생물 유기비료 배합시비 처리 사이의 목화 생산량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P 세균, 방선균 및 슈도모나스(Pseudomonas) 수량은 모두 유기비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서로 다른 유형의 유기비료 배합시비에서 OF+BF gt; BF gt; OF이었다. 진균 수량은 유기비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그중, OF+BF 배합시비 처리에서 가장 현저했다. 유기비료와 무기비료 배합시비는 토양효소 활성을 현저히 제고하였고 80% CF, 60% CF와 유기비료 배합시비 처리에서 토양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플루오레세인 아세테이트 에스터라제(fluorescein acetate esterase), β-글루코시다아제, 탈수소효소의 활성은 CF 처리보다 각각 3.8%, 17%, 18%, 55%와 10.1%, 19%, 20%, 60% 상승하였으며 서로 다른 유형의 질소비료가 토양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토양 세균/진균 비율, 토양 방선균/진균 비율, 토양 슈도모나스/진균 비율은 모두 유기비료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였고 화학비료 혹은 유기비료 시비는 모두 슈도모나스/세균 비율을 현저히 감소하였다. 세균, 방선균 및 슈도모나스 수량과 토양 탈수소효소, β-글루코시다아제,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 플루오레세인 아세테이트 에스터라제 활성은 모두 현저하거나 극히 현저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진균 수량과 4가지 효소 활성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CF를 20%~40% 감소하고 3,000, 6,000kg/hm 2 의 유기비료를 배합시비하는 경우, 목화 생산량을 감소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토양 효소 활성을 제고하고 토양 세균, 진균, 방선균의 군락 조성 구조를 조절하며 신장(Xinjiang) 북부 오아시스 점적관개 목화밭의 토양 생물학적 형질을 개선하는 현저한 작용을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1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otton,soil enzyme activities,soil microorganism,organic manure,목화,토양 효소 활성,토양 미생물,생물 유기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