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long-term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 combined application on weed growth dynamic in paddy fiel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ISSN 1000-093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ONG, Chun-hua,ZENG, Nao-hua,GAO, Ju-sheng,LIU, Qiang,XU, Ming-gang,WEN, Shi-l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중국농업과학원 적색토실험기지 적색토 논밭 장기적 위치고정 실험을 이용하여, 2011년 무기비료(화학비료 NPK)와 유기비료(M) 질소-인-칼륨 영양분이 같은 조건에서 장기적으로 유기비료와 무기비료를 배합시비하여 잡초 종류와 바이오매스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30a 후, 올벼와 늦벼 시비처리: PK+M 처리에서 잡초종류가 가장 많고, NPK+M 처리에서 잡초종류와 우점 잡초종류가 비교적 적고 종류 수량이안정적이며, 올벼와 늦벼 잡초종류 수는 전자가 후자에 비해 각각 19.7%와 9.8% 높다; 시비처리에서 두 계절 잡초 총 바이오매스 NPK+M 처리가 가장 높고 NP+M 처리가 가장 낮으며, 또 NPK+M, NK+M, PK+M와 CK 처리는 NP+M 처리에 비해 각각 31.3%, 26.5%, 8.3%와 5.6% 높다. 올벼 NPK+M 처리에서 잡초 총 바이오매스와 부생잡초 총 바이오매스가 가장 많고 NK+M 처리에서 습생잡초 총 바이오매스가 가장 많으며, 늦벼 NPK+M 처리에서 잡초 총 바이오매스와 습생잡초 총 바이오매스가 가장 많고 NPK+M 처리에서 부생잡초 총 바이오매스가 가장 많다; 토양 가수분해성 질소와 유효인은 잡초 총 바이오매스, 습생잡초 총 바이오매스, 부생 잡초 총 바이오매스와 뚜렷한 정상관관계(상관계수는 차례로 0.508*와 0.578**, 0.552*와 0.453*, 0.410*와 0.802**)를 나타내며, pH 값은 삼자와 뚜렷한 부상관관계(상관계수는 차례로 -0.516*, -0.531*와 -0.698*)를 나타낸다. 토양 pH는 토양 유효인과 가수분해성 질소 및 기타 인자의 공동작용으로 잡초 총 바이오매스에 영향을 미친다. 시비(fertilization)조치를 통해 토양에 적합한 pH 및 가수분해성 질소와 유효인 함량을 조절하여 농지 중 습생과 부생잡초의 생장을 효율적으로 조정하며, 잡초 종류와 바이오매스가 농업생산에서 유익한 균형에 이루도록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96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ong-term located fertilization experiment,combined application of organic and chemical fertilizer,red paddy field,weeds dynamic,장기실험,유기비료와 무기비료 배합시비,논,잡초 동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