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아건강상태(亞健康狀態)에 처하여 있는 환자는 양의학적으로 뚜렷한 병리적 변화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중의학의 병기이론을 근거로 하면 아건강상태(亞健康狀態)는 일정한 병리적 상태에 처한 것으로 인식된다. 즉 인체의 음양과 기혈이 편파(偏頗)되어 있으며 단지 그 변화가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병태(病態)적 요인에 비하여 정도(程度)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중의학이 건강에 대한 인식은 lsquo;천인상응(天人相應) rsquo;과 lsquo;음평양비(陰平陽秘) rsquo;, lsquo;정신내치(精神乃治) rsquo;란 관념이다. 주로 사람과 자연환경 및 외부사회간의 상호관계, 그리고 체내의 음양조화를 이룬 동태평형(動態平衝)을 중요시한다. 즉 인체의 기혈평형과 장부기능의 협조(協調)를 강조하고 기기(氣機)의 조창(調暢)이 건강의 근본(根本)이라고 인식한다. 시대적인 관계로 중의학에는 아건강상태(亞健康狀態)란 용어가 없지만 2000여년 전(前)에 성서(成書)된 중의학의 경전거작(經典巨作)인 ${ ulcorner}$ 내경(內經) ${ lrcorner}$ 속에 일찍이 lsquo;미병(未病) rsquo;이란 개념(槪念)과 치미병(治未病)의 관념을 제출하였다. 이는 중의학이 미병선방(未病先防)의 의학사상을 나타내었고 주로 치병지미성(治病之未成), lsquo;치기미전(治其未傳) rsquo;, lsquo;차후방복 rsquo;등 세 가지 방면의 내용을 제시된다. 또한 중의학은 양생학(養生學)에 대하여 특별히 중시하였고, ${ ulcorner}$ 내경(內經) ${ lrcorner}$ 에 대량(大量)의 편폭(篇福)으로 어떻게 양생하고 정기(正氣)를 보호해야 한다는 방법이 소개 되어 있다. 후세(後世) 역대의가(歷代醫家)는 그 내용을 더욱 충실(充實)케 하고 발전시켰다. 근대(近代)에 이르러서 중의학술(中醫學術)에 특유한 내용인 '미병학(未病學)'이 형성되었고, 그 이론체계 속에 아건강상태(亞健康狀態)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현삼(玄蔘), 구기자(枸杞子), 아교(阿膠), 별갑(鱉甲), 단불가장기사용(但不可長期使用). 기진간법시(其鎭肝法是), 재치료경간(在治療驚癎), 전광(癲狂), 현운(眩暈), 뇌충혈제증시(腦充血諸證時), 작위대표처방선용료진간식풍탕(作爲代表處方選用了鎭肝熄風湯). 염간법시근거기(斂肝法是根據其)'범인원기지탈(凡人元氣之脫), 개탈재간(皆脫在肝)'적독특이론(的獨特理論), 이내복탕등작위대표처방진행치료적방법(以來復湯等作爲代表處方進行治療的方法), 차대제양사용료산수유(且大劑量使用了山茱萸). 보간법시재간기허약이실기조달시사용적치법(補肝法是在肝氣虛弱而失其條達時使用的治法), 인위황기시보간적주약. 완간법시의거(緩肝法是依據) lsquo;간고급(肝苦急), 급식감이완지(急食甘以,緩之)'지설이정적치법(之說而定的治法), 인위단미감초시대표약(認爲單味甘草是代表藥).3일 이내 전화나 FAX로 보고하고, 10일이내 문서로써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임상적 안전성 자료 관리에 대한 신속 보고 정의 및 기준에 대해서는 ICH에서도 논의가 되어 Step 4까지 다다르고 있으므로 앞으로 각 국에서의 적용만 남아있는 상태이고 보면 신약의 개발과 더불어 임상시험에서의 부작용등의 안전성 자료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공하는 음식의 섭취정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학부모와 전담교사 및 학교영양사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아침식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에 대해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정부차원에서 학교급식에 아침식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