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울진토양에서의 137Cs 및 90Sr 분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ISSN 2508-1888,2466-246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송지연,김완,맹성진,이상훈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6-01-01
초록 연구배경: 우리나라 표층토양 중 원자력 발전소 주변 지역인 울진군을 중심으로 $^{137}Cs$ 과 $^{90}Sr$ 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토양 속 방사성핵종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한국토양에 발생한 $^{137}Cs$ 과 $^{90}Sr$ 의 농도에 대한 기준자료 확보와 원자력시설 주변 환경영향 평가의 강화가 목적이다. 재료 및 방법: 원자력 발전소 인근 10 km이내의 지역 14곳에서 2011년 4월 표층토양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깊이에 따른 분포 조사를 위하여 40 cm 까지의 토양을 덕구, 후정, 매화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137}Cs$ 의 농도는 HPGe 감마분광시스템으로, $^{90}Sr$ 의 농도는 방사평형상태의 $^{90}Y$ 을 기체 유동식 비례계수기로 계측하였다. 결과 및 논의: 표층토양에서 $^{137}Cs$ 의 방사능농도는 $ /TEX gt; 0.479-39.6Bq{ cdot}(kg-dry)^{-1}$ (평균 $7.51Bq{ cdot}(kg-dry)^{-1}$ ), $^{90}Sr$ 의 방사능 농도는 $0.209-1.85Bq{ cdot}(kg-dry)^{-1}$ (평균 $0.74Bq{ cdot}(kg-dry)^{-1}$ )이었다. 방사능비( $^{137}Cs/^{90}Sr$ )는 9.67로서 전지구적 초기 방사성 낙진의 1.75보다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낙진 이후 $^{90}Sr$ 의 심층으로의 빠른 이동성 때문이다. 깊이에 따른 분포는, 덕구와 후정의 토양에서 $^{137}Cs$ 의 농도가 표층토양에서 가장 높고 깊이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90}Sr$ 의 방사능농도는 표층 및 깊이 30 cm 부근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표층토양 방사능 농도와 표층토양 변수들(pH, 유기물함량, 입도)과의 선형 핏팅에서는 $^{137}Cs$ 방사능과 유기물함량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결정계수 $R^2=0.6$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울진 토양의 $^{137}Cs$ 과 $^{90}Sr$ 의 방사능농도 범위는 한국 다른 지역의 값과 유사함을 확인하였고 $^{137}Cs$ 방사능과 유기물함량 사이에 상당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41377269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환경방사능,토양,울진,Environmental radioactivity, lt,TEX gt,$^{137}Cs$ lt,/TEX gt,. lt,TEX gt,$^{90}Sr$ lt,/TEX gt,. Soil,Ul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