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XIAO, Pei-lian,FENG, Rui-jie,HOU, Li-xia,LV, Xiao-tong,ZHU, Dan,LIU, Xin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저항성 품종 '줘유훙(Zuoyouhong)' 조직배양 유묘를 재료로하여 WRKY18 유전자를 복제하였으며 서열 측정 결과, VvWRKY18 유전자 조각의 크기는 954 bp이고 317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인코딩하였다. 생물정보학적 분석 결과, VvWRKY18의 단백질 분자량이 35.2416 kDa이고 등전점이 8.22였으며 불안정 계수가 48.61로서 불안정 단백질로 추측하였다. 이미 알고 있는 자포니카 벼(japonica rice), 고량, 포플러나무(Populus trichocarpa) 및 애기장대 WRKY 집단의 단백질과 높은 상동성이 있었다. 아세포 위치 결정 예측 결과, 주로 세포핵에 존재하였으며 제2형 WRKY 형질전환 유전자 집단에 속하였다. 실시간 형광정량 PCR 분석 결과, VvWRKY18는 포도의 서로 다른 조직에서 발현되며 꽃에서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다양한 역경 스트레스 인자, 예를 들면 염분, 가뭄과 저온 등은 VvWRKY18의 발현을 상향조절하며 저온 스트레스를 6시간 받은 후 유도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VvWRKY18는 스트레스 신호 분자 살리실산(Salicylic acid),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일산화질소(Nitric oxide)와 과산화질소의 유도를 받아 발현이 상향조절되었으며 VvWRKY18이 일산화질소로 처리한 조건에서의 발현 모드가 저온에서 유도하였을 때와 비슷하였다. 이로부터 추측하였을 때, VvWRKY18은 일산화질소 신호분자의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포도의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