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4-BDE on Microstructure and Some Physiological Indexes in Populus tomentosa Seedling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植物生理學報 = Plant physiology journal |
ISSN | 2095-1108, |
ISBN |
저자(한글) | CAI, Man,LI, Yan-ling,DU, Ke-jiu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4-BDE 처리가 모백양(Populus tomentosa) 조직배양묘의 형태구조 및 생리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낮은 농도의 4-BDE로 처리하였을 때 조직배양묘의 잎사귀 색상이 옅어졌으며 4-BDE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새잎은 초록색이 사라지고 흰색으로 변화는 현상이 나타났다. 대조그룹 묘목과 비교하였을 때 4-BDE 처리한 그룹의 미세구조가 뚜렷이 변화하였으며 뿌리의 표피세포가 심각히 손상되고 세포 형태가 작아졌다. 엽육 조직이 파괴되었으며 해면조직의 파괴 정도는 울타리 조직보다 높았다. 그러나 줄기의 구조는 정상 묘목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30 mg·L -1 의 4-BDE로 23일간 처리한 하얗게 변한 잎사귀의 비엽중은 대조그룹보다 뚜렷이 낮았으며 기타 처리 그룹은 모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잎사귀의 엽록소 함량은 4-BDE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4-BDE와 뚜렷한 농도 억제 관계가 있었다. 30 mg·L -1 의 4-BDE로 23일간 처리한 모백양의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함량은 47일과 58일 처리하였을 때보다 뚜렷이 낮았다. 4-BDE의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페록시다아제(peroxidase)의 활성이 뚜렷이 낮아졌고 프롤린의 함량은 먼저 낮아졌다가 다시 높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모백양 조직배양묘는 30 mg·L -1 보다 낮은 4-BDE 오염에 일정한 회복 능력이 있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알 수 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4456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4-BDE,Populus tomentosa seedling,microstructure,physiological indexes,4-BDE,모백양 조직배양모,형태구조,생리적 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