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siological responses of Chorispora bungeana seedings in vitro to drought stress simulated by PEG-6000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廣西植物 = Guihaia
ISSN 1000-314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ANG, Ning,WANG, Cheng-liang,LI, Yi-shen,WANG, Xin-xia,CHEN, Xia,NIU, T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Chorispora bungeana를 시험재료로 하고, 대조그룹, 5%의 PEG-6000, 10%의 PEG-6000, 20%의 PEG-6000, 40%의 PEG-6000 등 5가지 가뭄 처리 수준을 설정한 후, 고체-액체 배양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농도의 PEG-6000 모의(simulation) 가뭄 환경이 Chorispora bungeana 유묘의 생리생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가뭄 스트레스 조건에서 서로 다른 처리 시간에 따라 프롤린(Proline) 함량은 여전히 높아지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대조 그룹보다 뚜렷이 높았다.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도 조금 변화하였는데 먼저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말론알데히드(MDA) 함량은 시간이 갈수록 먼저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함량이 대조그룹보다 뚜렷이 높았다. 유묘 잎사귀 내 총 엽록소 함량은 먼저 높아졌다가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40%의 PEG-6000 스트레스 조건에서 총 엽록소 함량은 모두 대조그룹보다 뚜렷이 낮았다. 엽록소a는 뚜렷이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엽록소b는 농도가 5%인 PEG-6000 스트레스 조건에서 뚜렷이 높아졌고 10%, 20%, 40%의 PEG-6000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뚜렷이 높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엽록소b의 전체 함량은 엽록소a보다 낮았다. Chla/Chlb 값은 먼저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모두 대조그룹보다 높았다. 다양한 농도 및 서로 다른 처리 시간의 스트레스 조건에서 Chorispora bungeana 잎사귀 내 K + , Na + ,Ca 2+ , Mg 2+ 함량은 뚜렷하게 파고처럼 변화가 있었으며 K + , Ca 2+ 는 5%와 10%의 PEG-6000 스트레스를 받고 6, 12, 24, 48, 72시간 후 모두 대조그룹보다 뚜렷이 높아졌고 40%의 PEG-6000 스트레스를 받은 후에는 대조그룹보다 뚜렷이 낮아졌다. Na + 는 5%의 PEG-6000로 여러 시간대에 스트레스를 받은 후 함량이 모두 대조그룹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기타 농도와 처리 시간에서의 함량은 모두 대조그룹보다 낮았다. Mg 2+ 함량은 40%의 PEG-6000 스트레스를 받은 후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냈지만 모두 대조그룹보다 뚜렷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가뭄 스트레스 조건에서 Chorispora bungeana는 삼투 조절물질, 광합성 시스템 내 엽록소의 함량 및 이온 함량 등을 변화시키는 것을 통하여 외계 가뭄 환경에 대응하는 가뭄 내성 반응 메커니즘을 작동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생리적 측면으로부터 Chorispora bungeana가 가뭄 내성에 반응하는 생리생태적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84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horispora bungeana,PEG-6000,drought stress,physiological indicators,osmoregulation,Chorispora bungeana,PEG-6000,가뭄 스트레스,생리적 지수,삼투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