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Interspecies Microorganisms Inducing Overproduction of Epothiones in Sorangium cellulosu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技術通報 = Biotechnology bulletin
ISSN 1002-546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Ya-wei,ZHAO, Lin,HAO, Yong-wei,TANG, Xiu-li,YANG, Ji-kun,GAO, Yu-zhen,LIU, Xin-l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미생물 사이에는 상호 작용이 존재하기에, 일반적으로 미생물을 도입하여 미생물의 대사 조절을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란줌 셀루로숨(Sorangium cellulosum)에 의해 에포틸론(Epothilones)의 과잉 생산을 촉진할 수 있는 미생물을 성공적으로 확보하였다. 그리고 감정을 걸친 결과, 이 미생물은 아스페르질루스 푸미가투스 Aspergillus fumigatus M03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 균주의 유기조추출물은 소란줌 셀루로숨의 유도로 에포틸론 A와 B의 생산량을 각각 72.3%와 59.7% 향상시킬수 있고 그 적당한 량의 균체의 수성 조추출물(aqueous crude extracts)도 그 같은 유도 작용이 있어 에포틸론 A과 B의 생산량을 각각 25.6% 및 24.7%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균주의 수성 조추출물은 고온에서 탈활성된 후 에포틸론의 합성에 대해 유도 작용을 잃었을 뿐만 아니라 첨가한 농도 증가시 억제 작용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균주의 발효액은 에포틸론의 합성에 대해 촉진 작용이 없었으며 또한 농도의 증가에 따라 억제 작용이 증가되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92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Interspecies interactions,Induction,Metabolic regulation,Aspergillus fumigatus,Sorangium cellulosum,Epothilones,종 간 상호작용,유도,대사 조절,아스페르질루스 푸미가투스,소란줌 셀루로숨,에포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