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at Liver Microsomal Aldehyde Dehydrogenas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생화학회지
ISSN 0368-488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oo, Chung-No,Oh, Eog-So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9-01-01
초록 에탄올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acetaldehyde를 산화하는 aldehyde dehydrogenase(ALDH)의 간세포 소기관 내의 분포를 조사하고 세 가지의 미크로좀 aldehyde dehydrogenase를 분리, 정제하여 그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의 세포 내 활성 분포는 미토콘드리아, 시토졸, 미크로좀에 각각 51, 17, 32%로서 절반은 미토콘드리아에 편중되어 있었으나 미크로좀에도 상당량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mmonium sulfate 침전, gel filtration, DEAE cellulose, CM-cellulose, blue sepharose affinity chromatography법 등을 이용하여 세 가지 미크로좀 aldehyde dehydrogenase, 즉 ALDH-I, ALDA-II, ALDH-III가 분리되었고 acetaldehyde에 대한 Km은 각각 2.77, 3.5, 1.56mM이었으며 다른 aldehyde, 즉 propionaldehyde, glutaraldehyde에 대해서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Sephacryl S-300 gel filtration 법으로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미크로좀 aldehyde dehydrogenase isozyme I, II, III의 분자량은 각각 220,000 dalton, 170,000 dalton, 200,000 dalton이고 SDS polyacrylamide gel 전기이동법으로 모두 4개의 subunit로 구성된 tetramer임이 밝혀지고 최적 활성온도는 $40^{ circ}C$ , 최적 활성 pH는 8.0이었다. 미크로좀의 에탄올 산화계 (MEOS)에 의해 생성된 acetaldehyde는 Km이 높은 microsomal ALDH에 의해 직접 대사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9347551819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