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AO, Xi-mei,LUO, Xu-guang,LIANG, Jun-hong,ZHANG, Chao,BAI, Li-juan,GUO, Da-wei |
초록 |
목적: 혈청 아밀로이드 A 활성화 전사 인자(serum amyloid A-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SAF) 코딩 영역의 엑손(exon) e4A와 e4B 영역의 히스톤 후성 유전학 정보를 논의하여, SAF 자체의 전사 제어 메커니즘 및 SAF 전사와 전구체 mRNA 절단 간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에 기반을 마련한다. 기법: 염색질 면역침강실험(chromatinimmunoprecipitation, ChIP)을 통하여 SAF 유전자 코딩 영역의 히스톤 수식(Histone modifications) 변화를 분석한다. 먼저 서로 다른 시간 동안 LPS에 의해 자극된 THP-1 세포, 최종 농도가 1%인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상호결합 단백질과 DNA를 수집한다. 초음파로 이 염색체를 임의의 크기로 단열하여 적당한 크기의 단편을 얻는다. ChIP 급별의 토끼 다클론성 항히스톤 H 3 항체(rabbit polyclonal to Histone H 3 , ab1791; abcam Ltd.), 토끼 다클론성 항히스톤 H 3 K36 삼메틸화 항체[rabbitpolyclonal to histone H 3 (tri methyl K36), ab9050; abcamLtd.], 토끼 다클론성 항히스톤 H 3 K9 단일 메틸화 항체[rabbitpolyclonal to histone H 3 (mono methyl K9), ab9045; abcam Ltd.]와 토끼 다클론성 항 RNA 중합효소 IICTD 반복 부위에 있는 5번 세린 인산화(Serine phosphorylation) 항체[rabbit polyclonal to RNA polymerase II CTD repeat YSPTSPS(phospho S5), ab5131; abcam Ltd.]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그리고 농축을 통하여 얻은 DNA 샘플을 템플릿으로 하여 반정량 PCR과 정량 qPCR 분석을 수행한다. 결과: LPS 자극 조건에서 SAF 유전자 코딩 영역의 히스톤 H 3 농축 신호가 약해졌고, 엑손(exon) e4A 영역의 단일 뉴클레오솜(nucleosome) 위 H 3 K9 단일 메틸화(H 3 K9me1) 수준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H 3 K36 삼메틸화 (H 3 K36me3) 수식의 농축 수준이 향상하고 RNA polII CTD 반복 서열의 5번 세린 인산화 수준이 감소하였다. 결론: LPS 자극으로 인해 SAF 유전자 코딩 영역의 히스톤 H 3 이 분리되고 해당 영역의 뉴클레오솜이 흩어졌으며, 응집된 염색질의 재형성이 개방 형태를 나타냈다; SAF 코딩 영역의 유전자 정보를 함유한 DNA가 노출되었는데, 이는 RNA polII의 전사 연장(Transcription elongation)에 유리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