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tic Involvement of Camellia taliensis in the Domestication of C.sinensis var. assamica (Assimica Tea) Revealed by Nuclear Microsatellite Markers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植物分類與資源學報 = Plant diversity and resources |
ISSN | 2095-0845, |
ISBN |
저자(한글) | LI, Miao-miao,YAN, Li-jun,LIU, Jie,GAO, Lian-mi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11개 핵 게놈 미세부수체 마커(Microsatellite)를 이용하여 푸얼차(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 3가지 개체군, 다리차(Camellia taliensis) 3가지 개체군 및 과도형 다리차의 2가지 개체군의 104개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에 대하여 유전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푸얼차, 다리차와 과도형 다리차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이 비교적 낮았으며 평균 대립유전자(Na)는 4.852, 평균 샤논 다양성 지수(Shannon diversity index)(I)는 1.17, 평균 기대 이형접합도(H e )와 관측 이형접합도(H o )는 각각 0.59와 0.52였다. 그중 다리차의 유전적 다양성 수준이 푸얼차와 과도형 다리차보다 낮았다. AMOVA 분석 결과, 푸얼차와 다리차 사이에서 유전적 분화가 뚜렷하였으며(F ST =0 0.305) 유전적 변이는 주로 개체군 내에서 발생하고(각각 93.51%와 89.41%) 개체군 사이에서는 유전적 변이가 비교적 낮았다(각각 6.49%와 10.59%). 주성분 분석과 STRUCTURE 클러스터링 분석은 모두 다리차와 푸얼차가 서로 다른 그룹이라는 것을 지지하였으며, 과도형 다리차는 다리차를 순화하여 얻은 것이고 재배 과정에서 다리차와 유전 분화된다. 혼합 재배한 다리차와 푸얼차 개체군 사이에서 다리차에서 푸얼차로의 유전자 이입이 명확히 존재하였으며, 이는 다리차가 푸얼차의 순화 과정에 참여하였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최종적으로 다리차와 푸얼차 카멜리아 시넨시스 자원을 보호하는 관련 건의를 제기하고 토론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12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Camellia taliensis,Domestication,Genetic diversity,Microsatellite,STRUCTURE clustering,푸얼차,다리차,순화,미세부수체 마커,유전적 다양성,클러스터링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