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ontrolled Release of Oxyfluorfen from the Variously Complexed Formulations - I. Model Study of Releasing Rate in Paddy Field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잡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ISSN 0253-764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Guh, J.O.,Kuk, Y.I.,Chon, S.U.,Kim, D.K.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0-01-01
초록 고도(高度)의 선택활성물질(選擇活性物質)로 알려진 oxyfluorfen (2-chloro-4-trifluoromethyl-3-ethoxy-4-nitrophenylether)을 수도용(水稻用P 제초제(除草劑)로서 약해(藥骸)없이 사용(使用)할 수 있도록 개발(開發)하기 위하여 방출제어모형(放出制御模型)을 가정(假定)하였으며, 이를 탐색(探索)하기 위한 여러 방식(方式)의 분시모형(分施模型)을 벼와 여러 잡초중(雜草重)에 적용(適用)하여 포장(圃場)에서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분시모형(分施模型)은 이앙전(移秧前) 3일(日), 이앙후(移秧後) 4일(日)과 11일(日)의 3시기(時期)로 나누어 oxyfluorfen을 10-10-0, 10-10-10, 20-20-0, 20-10-10, 20-20-20, 0-40-0, 0-0-0 g ai/Hark 되도록 달리하였다. 시험(試驗)을 통(通)하여, 벼의 약해(藥害)는 엽초하부의 갈반(褐班)으로 20g ai/Ha이상 처리(處理)된 경우(境遇), 처리후(處理後) 11일(日)경부터 잠시 나타나났다가 수일만에 사라졌으며 동량(同量)이라도 분시(分施)함으로써 경감(輕減)되었으며 이앙 30일 이후의 벼 생육에는 어떤 처리도 유의적(有意的)으로 영향하지 않는 경향(傾向)이었다. 잡초(雜草)가운데, 일년생(一年生)의 피와 물달개비 및 다년생(多年生)의 올미는 oxyfluorfen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나 일년생의 올챙고랭이와 대부분의 다년생(多年生) 초종(草種)들은 일시적인 생육저해(生育沮害)를 경과한후 즉기 재생(再生)하는 내성반응(耐性反應)을 보였다. 따라서 수도용(水稻用) oxyfluorfen의 개발을 위하여서는 벼의 약해경감(藥害輕減)을 위하여 가급적(可及的) 묘령(苗令)을 크게 하거나 약량(藥量)을 줄이는 동시에 이앙전처리(移秧前處理)를 병행(竝行)한 분시체계화(分施體系化), 또는 이앙전(移秧前)에 처리될 수 있는 완효성(緩效性) 방출제어형(放出制御型)의 제형개발(製型開發)이 바람직하며, 살초(殺草) spectrum을 넓히기 위한 다년생(多年生) 전문약제(專門藥劑)와의 혼합재개발(混合再開發) 및 혼용연구(混用硏究)가 기대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03405667751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