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국내 재배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ISSN 1225-433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명수,정보름,박경진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연구는 흰 민들레의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흰 민들레 꽃, 잎, 뿌리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수율은 꽃, 잎, 뿌리가 각각 $32.15{ pm}3.21%$ , $31.63{ pm}0.63%$ , $27.48{ pm}2.47%$ 로서, 꽃 gt; 잎 gt; 뿌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 추출물에서 $61.29{ pm}2.11mg/g$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잎( $43.52{ pm}2.34mg/g$ ), 뿌리( $11.36{ pm}1.87mg/g$ ) 순으로 나타났다.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에서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으로 꽃 ( $46.11{ pm}1.88mg/g$ ), 잎( $24.89{ pm}1.20mg/g$ ), 뿌리( $6.31{ pm}1.22mg/g$ )의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DPPH 라디컬 소거활성으로 분석한 흰 민들레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꽃, 잎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 1.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89.99{ pm}2.83%$ , $85.29{ pm}2.22%$ , $37.88{ pm}2.34%$ 로 꽃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DPPH 라디컬 소거능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MTT법에 의한 흰 민들레 부 위별 에탄올 추출물 400 mg/kg 첨가시 위암 세포주(AGS), 폐암 세포주(A-549) 및 대장암 세포주(HCT-116)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위암 세포주(AGS)에서 꽃( $62.85{ pm}4.63%$ ), 잎( $47.83{ pm}4.22%$ ), 뿌리( $4.73{ pm}0.89%$ )의 순으로, 대장암 세포주(HCT-116)에서 꽃( $69.89{ pm}3.44%$ ), 잎( $54.14{ pm}2.82%$ ), 뿌리( $9.42{ pm}1.11%$ )의 순으로, 폐암 세포주(A-549)에서 꽃( $85.72{ pm}4.17%$ ), 잎( $71.79{ pm}2.98%$ ), 뿌리( $19.10{ pm}2.04%$ )의 순으로 모든 암 세포주들에 대하여 꽃 부위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뿌리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흰 민들레는 향후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의 이용에 있어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59474322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araxacum coreanum Nakai,antioxidant activity,anticancer activity,cytotox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