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Colletotrichum higginsianum은 초이삼(flowering Chinese cabbage), 무우(carrot) 등 십자화과(cruciferous) 식물의 탄저병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생산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 준다. 현재 탄저병 병원균의 벤즈이미다졸 살균제(benzimidazole fungicides)에 대한 저항성 문제는 학계의 관심사로 대두하여, 새로운 표적 화학약제의 개발이 기대된다. 아데닐산고리화효소(Adenylate cyclase, AC)가 G단백질의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방법]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의 Srv2서열을 토대로 Blastp 비교 및 키워드 검색을 진행하고, SMART를 이용하여 보존 도메인 분석을 진행한다. 동시에 해당 세균 내 AC 관련 단백질의 서열에 대해 물리화학적 성질(physicochemical properties), 신호 펩타이드(signal peptide), 막관통 도메인(trans-membrane domain) 등 분석을 진행한다. [결과] 해당 세균은 CgCap1, CgCap2 등 Srv2와 상동성이 있는 2개의 AC 관련 단백질을 포함하였는데, 물리화학적 성질 2차구조 등 특징을 볼 때 CgCap1과 CgCap2는 Srv2와 비교적 큰 차이가 있었다. 이 외에 Srv2와 CgCap1, CgCap2 및 그 상동성 서열에 대해 비교분석을 진행한 결과, CgCap1, CgCap2의 서열은 각각 그 상동성 서열 및 Srv2의 C말단, N말단과 비교적 큰 유사성이 있었는데, 이상 2개의 서열은 각각 Colletotrichum higginsianum 내 AC 관련 단백질의 C말단과 N말단인 것으로 추측된다. [결론] 본 연구는 Colletotrichum higginsianum 내 AC 관련 단백질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에 든든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