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비만세포에서 은행잎 플라보놀에 의한 Th2 Cytokine 발현 및 신호전달 억제 기전 효과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ISSN 1738-191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권혜영,정규진,정광조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은행잎 유래 플라보놀 성분이 갖는 항아토피 활성에 대해 입증된 바는 드물다. 이 논문에서는 MC/9 비만세포에서의 은행잎 플라보놀의 항아토피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ELISA와 Real-time PCR, western blot으로 은행잎 플라보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IL-13, MIP-1a의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IL-4, IL-5, IL-13, TNF-a 유전자 발현량은 25, 50, $100{ mu}g/m{ ell}$ 의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western blot 분석 결과 c-jun과 NFAT-1단백질 발현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은행잎 유래 플라보놀 성분이 NFAT-1, c-jun 전사인자의 전사를 억제함으로써 MC/9 비만세포에서의 Th2 싸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은행잎 유래 플라보놀 성분이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로서 활용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자 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665006112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플라보놀,은행잎,MC/9 비만세포,Th2 싸이토카인,아토피 피부염,Flavonol,Ginkgo biloba leaves,MC/9 mast cell,Th2 cytokine,atopic derma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