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기후변화로 인해 연안지역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재해가 가중될 것으로 예측되며 해수면상승, 해일, 만조의 해안재해와 하천재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연안지역의 특징을 고려한 재해 대비와 사전예방적 관리를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까지 반영된 연안지역의 복합 재난을 관리하기 위한 연안재해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도시의 지역적 특성에 주목하여 다양한 원인을 고려한 복합 침수예상도와 그에 따른 대피지도 및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국민 연안재해 정보 제공 서비스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연안재해 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효과적 시스템 개발을 위해 국내 외 관련 시스템 사례 분석과 전문가, 연구진 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기능을 도출하였으며, 계층적 분석 기법(AHP)을 통해 기능 간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고 개발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우선순위를 통해 도출된 침수예상도, 대피지도, 현장정보, 재해정보 기능을 바탕으로 연안재해 관리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개별 특징과 사용권한을 고려하여 메뉴구조도를 도출하였다. 연안재해 관리시스템의 개발 우선순위로 도출된 핵심 기능인 복합 침수예상도는 연안에서 발생 가능한 다중적인 재해 원인이 고려된 결과를 표출하는 것으로서 연안재해 관리에 효율적인 의사결정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대피 정보 제공을 통해 재해피해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시스템 설계 고도화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에 맞도록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침수예상도, 대피지도 등 표출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병행된다면 재난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