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nbsp; nbsp;현대사회는 세계화 개방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동양학의 학문적 인식이 서양과학적 시각에서 일방적으로 미신시 비과학시하고 있는 것이 현 제도권 교육 학문 세계의 실상이다. 본고에서는 동성의 학문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동양학의 학문적 인식모형의 관점에서 동서양의 학문을 비교 고찰하였다. 비교결과 동양학은 보이지 않는 세계인 기(氣)와 신(神)의 세계의 입장에서 보이는 세계인 기(器)의 세계를 고찰하였고, 서양과학은 보이는 세계인 기(器)의 세계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다. 학문적 성격이 동양학은 종합적이고 전체론적이며 정신물질 일원론적 유기체론적 학문이고, 서양과학은 부분적이고 분석적이며 정신물질 이원론적 기계론적 학문이다. 그리고 사물의 접근 방법이 동양학은 우주론적으로 보이지 않는 기(氣)와 신의 세계에서 보이는 개개의 사물인 기(器)의 세계를 고찰하는 우주론적 Top Down학문이고, 서양과학은 보이는 개개의 산물인 기(器)에 근거한 Bottom Up학문이다. 이런 학문적 특성으로 인해서 서양과학 교육을 받은 현대인들은 눈앞이 이익에 급급한 근시적이고, 편협하고, 피상적인 삶을 살고 있다. 그러나 동양학자들은 원시적이고, 포용력이 있으며, 본질적인 삶을 추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