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UO, Hong-hai,ZHANG, Hong-zhi,TAO, Xian-ping,ZHANG, Ya-li,ZHANG, Wang-feng |
초록 |
서로 다른 유전자형의 목화 품종을 재료로 흙기둥(soil column) 재배 조건에서 막아래 점적관개 조건에서의 물-질소 관리방법이 신장지역(xinjiang) 목화의 광합성 기능과 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파종전 관개+개화 전기 제한 점적관개+개화기 충분한 점적관개를 진행하고 질소 비료 기초 20% 시비+추가 시비 80%한 물-질소 관리(W4N2) 조건에서 개화기 잎사귀에 엽록소 함량, 기공 전도도(gs), 순광합성속도(Pn), PSⅡ실제 광화학 효과 및 광화학 급랭 지수는 전반 생육기에 일반 관개를 진행한것 보다 명확히 낮으며 비광화학 급랭 지수는 늘어나고 지상 건조 물질의 축적량은 제한을 받는다. 개화기로부터 개서기 사이 엽록소의 함량, gs, Pn, Phi;PSⅡ, qP는 물-질소 공급량이 많아짐에 따라 커지고 지상 건조 물질의 축적은 많아졌으며 광합성의 산물이 목화 다래로 전위 빛 분배되는데 이롭다. 질소 비료 20% 시비+추가 시비 80%한 조건에서 신루자오(Xinluzao)13는 파종전 관개+전체 생육기 정상 관개(W3)를 진행한 결과 목화 산량이 가장 높으며 신루자오43호는 파종전 관개+개화전기 제한 관개+개화후기 충분 관개를 결합한 결과 생산량이 가장 높다. 그러므로 파종전 관개 조건에서 개화전기 물, 질소 공급량을 일정 정도 줄이고 생육 중,후기 물, 질소 공급량을 적당히 증가하면 캐노피층 엽편의 광합성 기능 시간을 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합성 물질이 먼저 생식기관에로 분배되는 것을 촉진하고 막아래 점적 관개 목화의 증산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