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질소 침전과 강수 변화의 불확정은 현재 글로벌 변화에서 아열대 지역이 관심을 받고 있는 이슈적인 생태학 과제이다. 따라서 강수변화 및 질소 첨가가 아열대 삼림식물의 생리생태특징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함으로써 글로벌 변화 배경에서 중국 아열대 삼림 동적 변화 메커니즘 및 보호와 관리를 위한 실험근거를 제공하였다. 야외 자연조건에서 3년의 강수 및 질소 첨가 제어실험을 설정하고, 강수변화 및 질소 첨가가 아열대 나무 묘목 Elaeocarpus glabripetalus, 대만풍나무(Liquidambar formosana), Schima superba, 종가시나무(Cyclobalanopsis glauca)의 생리생태 특징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강수처리는 자연강수(대조, CK), 30% 강수 증가(+H), 30% 강수 감소(-H) 등 3개의 수준이 있다. 질소 처리는 2개 수준으로 자연 상태(대조군)와 NH 4 NO 3 10 g·m -2 ·a -1 첨가가 있다. 아열대 지역의 토양 pH값이 비교적 낮음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식물성장은 토양 유효인의 제한을 받을 수 있으며, 질소의 제한은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아열대 지역의 질소 첨가가 나무의 광합성 생리생태특징 및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의 여부를 탐구하고, 동시에 강수변화와 질소의 교호작용이 4가지 나무 묘목의 광합성 특징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토론하였다. 실험결과: 강수 및 질소는 나무의 광합성 생리생태특징 및 성장에 대해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10 g·m -2 ·a -1 NH 4 NO 3 질소 첨가 수준은 4가지 나무 묘목의 엽편 엽록소 함량(P lt;0.05), 광계Ⅱ의 최대광화학효율(Fv/Fm)(P lt;0.01), 광화학 성능지수(Fv/Fm)(P lt;0.01) 및 순광합성속도(P lt;0.05)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4가지 나무 묘목의 총 바이오매스는 질소 첨가 후 33.06%(P lt;0.01) 향상하였다. 따라서 중국 저장(Zhejiang)성 구톈산(Gutian Mountain) 아열대 상록활엽림의 질소 첨가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강수변화가 나무의 생리생태특징 및 총 바이오매스에 미치는 영향은 질소 첨가보다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았으나 구톈산 아열대 지역의 가뭄철에서 강수가 순광합성속도(P lt;0.05), 기공 전도도(stomatal conductance)와 증산속도(P lt;0.001)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동시에 기공전도도가 강수에 대한 변화는 더 예민하였다. 강수와 질소의 교호작용이 나무의 광합성 생리생태학적 특징(PI ABS 제외) 및 총 바이오매스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다(P gt;0.05). 서로 다른 나무종 사이의 생리지표 차이는 나무종의 생물학적 특성 차이에서 초래된 것이며, 서로 다른 나무종 사이의 총 바이오매스 차이는 질소첨가와 강수의 영향을 받아 극히 현저한 수준에 도달하였다(P lt;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