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bundance index, recruitment of Dosidicus gigas in the waters off Peru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海洋漁業 = Marine fisheries |
ISSN | 1004-2490, |
ISBN |
저자(한글) | XU, Bing,CHEN, Xinjun,LU, Huajie,LIU, Bilin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아메리카 대왕오징어(Dosidicus gigas)는 동태평양 해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중요한 경제적 포획 종류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3~2010년 중국 오징어 어선이 페루(Peru) 연안에서의 생산 통계 데이터와 원격탐사로 확보한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 데이터에 근거하고 정준 상관 분석법과 Marine Explor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아메리카 대왕오징어의 자원 풍도와 가입량(단위 포획 노력량 어획량을 지표로 한다, t·d - 1 )와 서식 해역 20°N~20°S?70°W~110°W 각 어구 SST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페루 연안의 아메리카 대왕오징어 자원 풍도와 가입량에 영향을 미치는 SST요인을 확보함으로써 관계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그 해의 자원 풍도와 SST의 상관성 최고치는 5월분 92.5°W?12.5°N 해구(상관계수는 0.94, P lt;0.001) 이었는데 해당 해구의 SST 최적 범위는 29.8~30.5℃ 이었다. 다음 해의 자원 가입량 지수와 그해 SST의 상관성 최고치는 6월분 98.5°W?11.5°N 해구(상관계수는 0.93, P lt;0.01) 이었는데 해당 해구의 SST 최적 범위는 29.1~30.5℃ 이었다. 아울러 각각 SST 요인에 기반한 자원 풍도 예측 모델(P lt;0.01)을 구축하였다. 연구 결과, 페루 연안의 아메리카 대왕오징어의 자원 풍도와 가입량은 SST 요인을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15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Dosidicus gigas,sea surface temperature,resource abundance,recruitment,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아메리카 대왕오징어,해수면 온도,자원 풍도,자원 가입량,정준 상관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