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GONG, Yangyang,HUANG, Yanqing,LU, Jianxue,HUANG, Hongliang,GAO, Lujiao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3-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제품 남극 크릴분(Antarctic krill), 수제 냉동 건조한 남극 크릴분와 남극 크릴분 가수분해물(Antarctic krill hydrolysates)의 주요 영양 성분과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고 6가지 철갑상어(sturgeon) 근육을 기준 단백질(Reference protein)로 하고 또 3가지 영양 평가 지표(필수 아미노산 지수, 아미노산 비율계수와 상관 분석법)을 이용하여 이 3가지 크릴분이 철갑상어 단백질 사료로써의 영양가치를 평가하였다. 아울러 3가지 남극 크릴분의 불소 함량을 검측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가지 남극 크릴분의 평균 조단백 함량은 61.73%~67.13% 이었고 조지방 함량은 3.56%~4.56%이며 회분 함량은 15.56%~17.15%로 일급 제품 심지어 특급 제품 지표에 달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51.46%~58.75%에 달하였고 10가지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23.69%~28.51%이었고 3가지 필수 아미노산 총량과 조단백질 백분비율은 45.09%~47.94% 이었다. 딜리셔스 아미노산(delicious amino acids) 총량은 18.60%~21.19%로 총 아미노산을 차지하는 비율이 36.07%~36.17% 이었다. 필수 아미노산 지수로 볼때, 3가지 남극 크릴분은 모두 우량 단백질 원천이다. 또한 아미노산 비율 계수와 상관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3가지 남극 크릴분이 철갑상어의 필수 아미노산에 대한 평형성이 비교적 좋았고 상관 계수와 어분은 크게 차이나지 않았으며 대두박(Soybean meal) 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불소 함량면에서 수제 냉동 건조한 남극 크릴분의 불소 함량이 가장 높았고(2382.83±112.43mg·kg -1 ) 다음으로 제품 남극 크릴분(1122.73±62.82mg·kg -1 )이며 효소 가수분해한 남극 크릴분 가수분해물의 불소 함량(65.19±5.08 mg·kg -1 )은 현저하게 저하하여 유럽 규격(European standard) (350mg·kg -1 ) 보다 낮았다. 요약하면, 3가지 남극 크릴분의 아미노산은 평형성이 비교적 좋고 영양 가치가 비교적 높으며 불소 함량을 일정한 방법으로 저하시킬수 있어 비교적 큰 개발 이용 전망을 가지고 있는 우량 자원이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158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