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UAN, Jianmei,TANG, Jianhua,BEN, Chengkai,ZHANG, Hu,WU, Lei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2011년 5월(봄)과 8월(여름)에 중국 뤼쓰(Lvsi) 어장의 참조기(Pseudosciaena polyactis) 병어(Silver pomfret Pampusargenteus) 국가급 수산 유전 자원 보호 지역의 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해당 보호 지역의 부유식물 분포특징과 환경 요인의 연계를 분석하였다. 초보적으로 감정한 부유식물은 16속 24종인데 그 중 규조문(Bacillariophyta)이 14속 22종이고 황적조식물(Pyrrophyta)이 2속 2종으로써 규조문이 수량과 종류에서 절대적 우세를 차지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코스타툼 골편돌말(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nordenskioldi, Coscinodiscus bipartitus과 Coscinodiscus jonesianus 이었다. 봄철 부유식물 밀도는 3×10 5 ~19 ×10 5 ind·m - 3 사이었고, 평균 10.3×10 5 ind·m - 3 이었으며, 여름철 밀도는 3×10 5 ~472.5×10 5 ind·m - 3 사이었고, 평균 155.4×10 5 ind·m - 3 이므로 부유식물의 시공간적 특징이 현저하였는데 두 계절 밀도의 최고치는 모두 6호 지역에서 나타났고 최저치는 모두 2호 지역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여름철의 평균 밀도는 모두 봄철 보다 높았으며 봄철의 다양성 지수와 균형 지수 모두 여름철 보다 우월하였다. 또한 환경 요인 모니터링에서 인산염이 표준을 제일 많이 초과하였는데, 두 계절 각각 100%와 62.5%에 달하였고 부유물질과 무기질소도 표준을 비교적 많이 초과하였으므로 수체는 현저한 부영양화 추이를 나타냈다. 역대 자료에 비해 해당 해역의 부영양화 정도는 심각하였고 부유식물 수량이 비교적 높은 수준에 있었다. 규범적 대응 분석(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결과, 해당 해역의 부유식물 분포에 미치는 환경 요인은 차례로 온도, 염도,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그리고 부유물질 이었는데 이는 부영양화 해역의 영양염이 부유식물을 현저하게 약화시킴을 알려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