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중국 난징시(Nanjing city) 쯔진산(Zijin Mountain)림을 연구지역으로, e-Cognition 지향객체(object-oriented) 분류방법을 이용하고 또 스펙트럼과 공간정보를 융합한 후의 IKONOS 영상에 기반하여 단목 수관 양성 수관 폭(positive crown area, PoCA) 정보를 추출하였으며, 또 야외에서 실제 측정한 방형구에서 바이오매스 데이터와 결합하여 침엽림과 활엽림의 지상 바이오매스(AGB)의 원격센서 추정 모델을 각각 구축하였고, 실제 측정한 삼림 바이오매스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에 대해 검증하였다. 결과, 원격센서 영상에 기반하여 추출한 PoCA와 실제 측정한 AGB는 비교적 양호한 비선형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구축한 침엽림 AGB 추정 모델의 신뢰성은 활엽림 모델보다 우위적이었다. 모델링 표본에서 볼 때, 추정한 침엽림과 활엽림 AGB와 관측 데이터와 비교한 R 2 은 각각 0.62(P lt;0.01, n=9)와 0.56(P lt;0.01, n=16)이다. 검증결과, 구축한 AGB 추정모델의 신뢰성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추정한 침엽림과 활엽림 AGB와 관측 데이터와 비교한 R 2 은 각각 0.55(P lt;0.01, n=6)와 0.52(P lt;0.01, n=10)이다. 그러나 AGB가 비교적 낮을 때 모델 결과는 높은 편에 속하였고, AGB가 비교적 높을 때 모델 결과는 낮은 편에 속하였다. 연구결과, 고해상도 원격센서(High spatial resolution remote sensing) 데이터를 통하여 융합하고 추출한 수관 정보에 대해 진행한 바이오매스 추정은 실행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