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화장품 산업의 특징을 요약하면 국가의 문화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는 산업분야로써 사회와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성장하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화장품 산업은 화학, 생물학, 생리학, 약학 등의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이 복합적으로 적응되는 분야로써 다품종, 소량생산의 전형적인 정밀화학공업의 한 분야이다. 따라서, 화장품 산업은 기술 집약적이고 고부가가치의 산업이다. 그 동안 약사법에 포함되어 있어서 화장품으로서의 법적 지원이 미흡하였으나, 화장품 법이 약사법으로부터 분리되어 새로운 제도 하에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 중에 있다. 화장품 산업을 크게 나누면 첫째,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산업, 둘째, 이러한 원료로부터 화장품을 제조 판매하는 제조업으로서의 산업, 셋째, 화장품용기의 디자인 및 용기를 제작하는 산업, 넷째, 화장품을 응용하는 미용, 에스테틱, 홍보 등의 서비스산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국내의 화장품 자체만으로 약 3 조원의 시장을 이루고 있으며, 관련산업을 합치면 약 10 조원 정도로 추산되며 약 20 만 명 이상의 인력이 화장품 관련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최근 화장품 연구는 치유개념이 도입된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집중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Cosmeceutical은 Cosmetics와 Pharmaceutical의 합성어로 기능성화장품으로 불리어지며, 크게 기능성을 갖는 활성성분의 연구, 효능물질의 경피 흡수 방법과 이를 포함한 제형의 연구 및 피부생리에 대한 기초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기술에서의 주된 관심 분야는 피부노화의 지연 연구, 자외선 및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으로부터의 피부 보호, 미백연구 외 새로운 피부세포의 생성을 촉진하는 주름방지, 향을 이용한 스트레스 완화, 피부 보습 등 기능성물질의 개발과 이들 물질의 효능 및 피부안전성 측정 방법 등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고 향후에는 피부항상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에 대한 기작 연구에서 그 원인을 제거하는 세포 또는 유전자의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 화장품원료로 연구되고 있는 물질로는 Retinol, Vitamin C,E 등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