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Bioinformatic processing of a large number of Litopenaeus vannamei ESTs and analysis of 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學報 = Acta oceanologica sinica
ISSN 0253-419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SUN, Zheng,LIU, Cheng-zhang,LI, Fu-hua,ZHANG, Xiao-jun,ZHANG, Jun-bin,XIANG, Jian-ha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흰다리 새우(Litopenaeus vannamei)는 중국 나아가 세계적으로 해양 대하양식에 가장 많이 쓰는 품종이다. EST(expressed sequence tags) 서열 측정은 게놈 배경이 없는 생물의 유전자 기능을 연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흰다리 새우의 중요한 기능유전자를 연구하고 분자 표지의 선정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고효율적으로 EST 정보를 깊이 발굴하는 방법을 통합하였으며 또한 이를 기반으로 공용 데이터베이스에서 161,241가닥 흰다리새우의 EST 서열을 분석하여 20,410가닥의 unigenes을 확보하였는데 이는 14,236가닥의 contigs와 6,174가닥의 singlets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NR 데이터베이스과의 비교를 통하여 7,984가닥 해석된 유전자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나머지 12,426가닥 미지의 유전자 내의 4,702가닥 기능 도메인을 해석하였다. 다음으로, NR에서 해석된 유전자의 GO(Gene Ontology) 분류에 기반하여 2,715가닥 유전자의 생물학적 과정, 세포 위치결정 및 기능적 유형 정보 등을 확보하였다. 그 다음으로, model organisms map와의 비교 및 위치 결정을 통하여 3,738가닥 유전자 위치를 270개 KEGG 경로 도표 내에 결정하였으며 또한 흰다리 새우의 9가닥 unigenes와 스트레스 반응성 인산화 효소(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경로의 5개 핵심 유전자가 대응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흰다리 새우도 유사한 중요한 신호 전달 경로가 존재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간췌장, 림프기관, 피세포, 아가미, 눈자루 및 신경색 등 6종류 조직의 EST를 비교 분석하여 조직 특이적 전사물을 7000여가닥이나 선별하였으며 또한 이 특이적 전사물을 기능적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용 유전자 자원를 발굴하는 방법을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향후 대하의 기능적 유전자를 연구하기 위하여 중요한 참고적 자료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82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itopenaeus vannamei,EST,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흰다리새우,EST,조직 특이적 유전자 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