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우유단백질 유래 마이얄 반응 생성물의 기능성 소재개발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ISSN 2287-368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오남수,이지영,신용국,김세헌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경남 남해군에 자생하는 고유품종으로 품종보호 등록된 섬애약쑥의 채취시기와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5, 6, 7월에 동일한 재배지에서 수확한 후 각각을 12일 동안 음건(SD) 및 $60^{ circ}C$ 에서 7일간 숙성한 다음 $90^{ circ}C$ 에서 220분간 저장하여(AD) 건조하였다. 전처리방법을 달리하여 건조한 섬애약쑥의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glucose만이 검출되었으며 함량은 $0.42{ pm}0.02{ sim}0.43{ pm}0.01g/100g$ 과 $0.41{ pm}0.02{ sim}0.47{ pm}0.04g/100g$ 이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AD( $1.29{ pm}0.08{ sim}2.90{ pm}0.08g/100g$ )와 비교하여 SD( $1.85{ pm}0.09{ sim}3.45{ pm}0.14g/100g$ )에서 더 높았다. 물 추출물을 31.5, 62.5, 125, 250, $500{ mu}g/mL$ 의 농도로 제조하여 항산화활성을 평가한 결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SD 5월 시료와 AD 7월 섬애약쑥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FRAP도 이들 시료에서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 beta}$ -Carotene에 대한 탈색 저해활성도 SD의 5월과 AD의 7월 시료에서 각각 $25.53{ pm}2.85{ sim}81.43{ pm}2.56%$ , $35.98{ pm}2.22{ sim}79.00{ pm}1.42%$ 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 섬애약쑥은 5월 채취하여 음건하였을 때와 7월에 채취하여 숙성가공하였을 때 유용성분의 섭취가 더 용이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2664981243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