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SHU, Miao-an,HU, Hang-jiao,LU, Jing-ying,XU, Bin-peng,WANG, Yan,LIU, Guang-xu,GUO, Xiao-ling |
초록 |
상동성 클론 전략과 RACE 기술을 이용하여, 날개조개(Hyriopsis cumingii)의 외투막 조직에서 칼레티쿨린(calreticulin) 유전자의 전체길이 cDNA 서열을 성공적으로 클론하였는데, 그 전체 길이는 1,838 bp, 개방형 해독틀(open reading frame)은 1,257 bp였으며, 418개의 아미노산을 인코딩할 수 있었다. 5 rsquo;비번역 영역은 75 bp, 3 rsquo; 비번역 영역은 506 bp였으며, GenBank에는 JX416227으로 등재되었다. 생물 정보학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날개조개의 칼레티쿨린 유전자에는 하나의 신호 펩티드 서열, 2개의 전형적인 칼레티쿨린 패밀리 라벨(KHEQNIDCGGGY과 IMFGPDICG), 3개의 보존 도메인(N-, P-, C- 말단) 및 소포체 선도 서열(leader sequence) HDEL이 들어있었다. NJ 법을 이용하여 계통 진화를 분석한 결과, 날개조개는 먼저 해양 쌍각류와 한 부류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지렁이 등 환형동물과의 혈연관계가 비교적 가까워 환형동물과 한 부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다음 새우류, 곤충, 어류, 양서류, 포유류와 한 부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형광 정량 PCR 검사 결과, 날개조개의 칼레티쿨린 유전자는 외투막, 폐각근(adductor muscle), 부족(pelecypoda), 아가미, 간장, 생식선, 심장, 장 등 8개 조직에서 모두 발현하였다. 그 중 외투막, 아가미와 부족 등에서의 발현량과 패류의 칼슘 대사 관련 조직 내 발현량이 비교적 높았는데 이는 해당 유전자가 날개조개의 칼슘 대사에 참여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다양한 농도의 Ca 2+ 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수중 Ca 2+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날개조개 외투막 내 칼레티쿨린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먼저 증가하였다 후에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으며, 농도가 60 mg/L일 때 최대치에 달하였는데, 이는 적당한 Ca 2+ 농도는 칼레티쿨린 유전자의 발현을 추진하나, 과량의 Ca 2+ 농도는 칼레티쿨린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또 Ca 2+ 농도가 60 mg/L일 때, 날개조개 외투막 내 칼레티쿨린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발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칼레티쿨린 유전자의 발현량은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먼저 증가하였으며, 48시간에 최대치에 달하였으며, 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상술한 결과는 칼레티쿨린 유전자의 기능 및 제어 메커니즘을 더 한층 연구하는데 기초를 마련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