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loning and expression analysis of HSP70 ORF in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連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Dalian Ocean University
ISSN 2095-138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A, Run-lin,PAN, Hou-jun,ZHAO, Fei,FANG, Xiang,SHI, Cun-bin,LI, Hua,WU, Shu-qi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열충격 단백질(heat-shock protein, HSP)은 생물이 환경 온도 변화에 적응하는 중요한 매개 분자이다. 본 실험에서는 백점충(Ichthyophthirius multifiliis) 내 열충격 단백질 70(Im HSP70) 유전자의 개방해독틀(open reading frame, ORF)를 복제하였으며, 형광정량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수온이 20, 25, 30℃인 조건에서 HSP70 유전자가 백점충의 유충, 영양체(trophozoite)와 포낭 3개 서로 다른 발육 단계에서의 발현 정황을 검출하였다. 검출 결과, Im HSP70 유전자의 ORF는 1,995 bp, 예측 코딩은 664 aa이었다. Im HSP70 단백질의 2차 구조는 α-나선과 랜덤코일을 주요로 하였으며, 공간 구조에 N말단 ATPase 도메인과 C말단 폴리펩타이드 결합도메인이 포함되었다. 기타 종의 HSP70 단백질 서열과 상동성 비교를 진행한 결과, Im HSP70은 Carchesium polypinum HSP70과의 상동성이 가장 높았고 78.08%였다. Im HSP70은 분류학적 지위가 같은 섬모충문(Ciliophora)의 Carchesium polypinum, Tetrahymena thermophila, Sterkiella histriomuscorum 내 HSP70과 하나의 분기를 이루었다. 3가지 온도 조건에서, 유충에서 HSP70 발현량이 가장 낮았으며, 20℃와 25℃일 때 영양체에서 HSP70 유전자의 발현량은 유충과 포낭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고(P 연구 결과, 실험에서 백점충 내 HSP70 유전자는 30℃일 때 대량적으로 발현되며, 실험 어류를 감염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해당 곤충은 열대형 백점충으로 추측할 수 있고, HSP70 유전자는 백점충의 외부 고온환경 저항 과정에서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22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Ichthyophthirius multifiliis,heat-shock protein 70,gene expression,백점충,열충격 단백질 70,유전자 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