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Chao,QU, Cun-min,CHEN, Li,JIAN, Hong-ju,LI, Jia-na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형 유채 GH06 및 중유(Zhongyou) 821을 모본 교잡으로 하고, '단주계통법(single seed descent method)'으로 8세대를 연속해서 자기 생식하여 구축한 재조합 자식계통 군체 SWU-2를 연구 재료로 하였으며, 본 실험실에서 이미 구축된 유전자 연관 지도 및 CIM(composite interval m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3개 서로 다른 환경에서의 기름 함유량과 기름 함유량 환경 둔감(insensitive) 계수에 대한 QTL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 서로 다른 환경에서 49개 기름 함유량에 관련된 QTL를 검출하였는데 각각 10개 서로 다른 연관군에 위치하였고 단일 QTL는 3.31%~12.47% 의 표현형 변이를 해석할 수 있었다. 42개 기름 함유량 환경 둔감 계수 QTL는 각각 12개 서로 다른 연관군에 위치하였으며 단일 QTL로 해설할 수 있는 표현형 변이는 4.05%~14.68% 사이에 있었다. (2) 7개 기름 함유량에 관련된 QTL는 기름 함유량 둔감 계수 QTL와 서로 중첩되었으며 각각 1, 5, 8, 10, 15, 20번째 연관군에 위치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양배추형 유채의 기름 함유량 관련 형질은 다원유전자에 의해 제어된 양적 형질로 표현했고 유전자 발현이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양배추형 유채 기름 함유량 둔감 유전자의 선별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였고 양배추형 유채의 높은 기름 함유량, 안정적인 기름 함유량의 분자 마커 보조 육종의 발전을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