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에서는 2010년 3월~2013년 2월 사이에 남중국해에서 다랑어의 연승어업과 어업 생산의 감시를 통하여 얻은 생물학적 자료 및 생산 자료를 이용하여 남중국해의 눈다랑어(Thunnus obesus)와 황다랑어(Thunnus albacres)의 생물학적 특성 및 어장 분포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1) 남중국해에서 잡힌 눈다랑어의 가랑이 체장 범위는 50~169cm였고 평균 111.8cm였으며, 체중 범위는 2.45~87kg이었고 평균 33.2kg이었다. 가랑이 체장(FL)과 체중(FL)의 관계식은 W=1.74×10 -5 FL 3.01 이었으며, 생식선의 성숙도는 대부분 Ⅱ 단계로서 총 마리수의 45.27%를 차지하였다. 절대적 산란량(absolute fecundity)은 109.46~456.95만개였으며, 섭식 강도는 주로 0~2급이었다. 눈다랑이의 연승 어장은 봄철과 여름철에 난사군도(Nansha Islands)의 서북부 및 중서부 해역에 분포되어 있었지만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시사군도(Xisha), 중사(Zhongsha) 및 난사(Nansha) 서북부 해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90%의 어획량은 150~400m 수층에 집중되어 있었다. (2) 남중국해에서 잡힌 황다랑어의 가랑이 체장 범위는 41~180cm였고 평균 107.9cm였으며 체중 범위는 1.2~77.5kg이었고 평균 27.9kg이었다. 가라이 체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W=2.19×10 -5 FL 2.94 이었으며, 생식선의 성숙도는 대부분 Ⅱ~Ⅳ 단계로서 총 마리수의 89.01%를 차지하였다. 절대적 산란량은 15~154만개였으며, 섭식 강도는 주로 1~2급이었다. 황다랑어의 연승 어장은 봄철과 여름철에 난사군도 북부 및 난사군도 중서부 해역에 분포되어 있었지만 가을철과 봄철에는 시사군도, 중사군도, 난사군도 서북부 및 난사군도 중서부 해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93.75%의 어획량은 50-350m 수층에 집중되어 있었다. 시사군도 서부 및 난사군도 서북부 해역은 등불빛 아래에서 건착망(light purse seine) 및 덮그물(Light falling-net)로 다랑어를 어획하는 주요 어장이었다. 결론적으로, (1) 남중국해에서는 소형 해수냉각기가 있는 연승 어선을 이용하여 매년 10월 말부터 다음 해 5월 초까지 시산군도 동북부 해역에서 표층연승어업(shallow longline)을 할 수 있었다. (2) 남중국해의 섬 부근에서 “파야오스(payaos)'을 설치하여 등불빛 아래에서 건착망 및 덮그물로 다랑어를 어획할 수 있었다. (3) 현재 확보한 자료는 여전히 한계가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조사를 통하여 남중국해 다랑어 어종의 동적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어업자원의 개발 및 보존에 건의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