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Wolbachia wsp gene to detect of Wolbachia in Cydia pomonell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昆蟲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SSN 2095-135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ENG, Hong-zu,WANG, Yue-ping,CAO, Yu,YANG, Ming-lu,LIU, Hui-min,XU, Jian-j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코드링나방(Cydia pomonella L.) 체내 공생세균(symbiotic bacteria) Wolbachia에 대해 분자 생물학적 감정을 진행하여 해당 해충 체내 Wolbachia의 진화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Wolbachia이 해당 곤충의 생식 작용에 대한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방법] Wolbachia의 wsp 유전자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고 PCR 증폭 방법을 통하여 코드링나방 10가지 지리적 개체군[신장(Xinjiang) 이리(Yili), 투루판(Tulufan), 허톈(Hetian), 스허즈(Shihezi), 쿠이툰(Kuitun), 하미(Hami), 쿠얼러(Korla), 아라얼(Alar), 카스(Kashi), 간쑤(Gansu) 장예(Zhangye)]이 Wolbachia에 감염된 상황을 측정하고 아라얼 개체군 체내 Wolbachia의 wsp 유전자에 대하여 서열 측정 및 서열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코드링나방 10가지 지리적 개체군은 모두 Wolbachia에 감염되었으며 wsp 유전자의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아라얼 개체군 체내에서 617 bp의 Wolbachia wsp 유전자 조각(GenBank 등록 번호: KC832324)을 증폭하였다. 계통 발생 분석 결과, 코드링나방 체내에 Wolbachia는 A집단 Dor 하위집단에 속하며 Trichopria drosophilae와 가까운 혈연 관계가 있다. [결론] 코드링나방 체내는 Wolbachia에 대부분 감염되었으며 A집단 Dor 하위집단에 속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68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ydia pomonella,Wolbachia,wsp,sequence analysis,phylogeny,코드링나방,Wolbachia,wsp,서열 분석,계통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