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2012년 9월, 2013년 1, 6월에 지우룽강 두개 지류의 북쪽 강, 서쪽 강 및 하구 지역에서 3번에 걸쳐 영양염(nutrient)을 감측하였다. 연구 결과, 하구 구역의 표층 수체에 용해된 무기질소(DIN), 총 인(TP)과 활성 인산염(PO 4 -P)의 질량 농도 범위가 각각 0.13~17.35, 0.14~1.00과 0.00~0.38mg/dm 3 이었다. 상류 유입과 해수 희석 작용의 영향을 받아, 영양염의 농도는 담수 말단으로부터 해수 말단에 이르기까지 점점 감소하였다. 북쪽 강의 표층 수체 내 DIN, TP와 활성 인산염의 질량 농도 범위는 각각 1.99~24.92, 0.12~1.47과 0.04-0.68mg/dm 3 이었다. 룽옌 지역의 산업 생산과 농업 생산 및 도시화 건설의 영향을 받아, 해당 농도는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점점 감소하였다. 서쪽 강의 표층 수체 내 DIN, TP와 활성 인산염의 질량 농도 범위는 각각 2.74~20.61, 0.14~0.92와 0.02~0.37mg/dm 3 이었다. 상류의 농업 생산과 하류 장저우 지역의 인류 활동 영향을 받아, 상류와 하류의 DIN 질량 농도가 비교적 높았다. 이밖에, 지우룽장 연안의 인류 활동도 해당 지역 수체에 용해된 무기질소 형태의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북쪽 강과 서쪽 강 상류의 NH 4 -N과 NO 3 -N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높았다. 수체에 대한 분석 결과, 2013년 1월의 DIN 농도가 기타 시기의 DIN 농도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그러나 서로 다른 지역의 TP와 활성 인산염은 서로 다른 시기에서 서로 다른 파동을 보였다. 영양염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 지우룽장 전체가 인 제한 상태에 있었다. 그러나 하구 및 북쪽 강 지역의 일부 위치에서 C DIN /C PO4-P 비율은 이미 부유 생물의 생장 번식 수준에 도달했다. 잠재적인 부영양화(Eutrophication) 수준에 대한 평가 결과, 지우룽장 하구의 대부분 관측점은 모두 N 혹은 P 제한의 부영양화 급별에 도달했다. 그러나 N, P 영양염의 절대적인 농도가 비교적 높으므로 적조 현상이 발생할 잠재적인 위험성이 존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