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Effect of Migration and Invasion by Carboxy Terminal Activating Region 3 of LMP1 in Nasopharyngeal Carcinoma Stem Cel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化學與生物物理進展 = Progress in Biochemistry and Biophysics
ISSN 1000-328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IAO, Juan,ZHANG, Zhi-wei,WU, Shi-hua,LIU, Zhong-yuan,TANG, Wei,ZHAO, Qiang,LEI, Ming-sheng,YANG, Dai-sh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잠재성 막단백질1(LMP1) 카르복실 말단의 활성 영역3(CTAR3)이 비인두암 줄기세포 SP18의 전이와 침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LMP1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SP18 세포계(SP18-LMP1)와 CTAR 3 결실돌연변이형 LMP1(LMP1 △252-351 ) SP18 세포계(SP18-LMP1 △252-351 )를 구축한 다음 LMP1-CTAR 3 결실돌연변이가 SP18 세포의 증식, 전이, 침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cDNA 칩을 사용하여 SP18-LMP1과 SP18-LMP1 △252-351 간의 차등 발현 유전자를 분석하였고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검증하였다. 또한 생물정보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차등 발현 유전자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a) SP-LMP1 △252-351 세포의 성장 속도는 SP-LMP1 세포에 비해 뚜렷하게 느렸고 복제 형성, 전이, 침습 능력은 감소하였다(n=3, P 3 의 18개 유전자(이 가운데 발현이 상향 조절된 유전자는 13개, 하향 조절된 유전자는 5개)를 검정하였다. 형광 정량 PCR 검사 결과는 cDNA 칩 검사 결과와 일치하였다. (c) 13개 차등 발현 유전자 간 상호 연계 및 노드 간 연계가 가장 많은 유전자는 FN1, MMP14, THBS1, ITGA2, IL1B, IL6 유전자였다. 결과적으로 LMP1 카르복실 말단 CTAR 3 은 FN1, MMP14, THBS1, ITGA2, IL1B, IL6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비인두암 줄기세포 SP18의 세포 전이와 침습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235100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asopharyngeal carcinoma stem cell SP18,LMP1,carboxyl terminal activating region 3,cDNA chips,migration and invasion,비인두암 줄기세포 SP18,LMP1,카르복실 말단의 활성 영역 3,유전자 칩,전이와 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