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목적: microRNA(miRNA) 조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난소암에서 다중 약물 내성 관련 유전자를 예측하였다. 방법: 발굴, 네트워크 구축 및 예측 등 생물정보학적 분석법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난소암의 화학요법 약물 내성 관련 miRNA 및 miRNA-표적 유전자 데이터를 발굴한 다음 miRNA 조절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또한 이미 알고 있는 miRNA를 이용하여 난소암에서 다중 약물 내성 관련 유전자를 예측하였다. 결과: 발굴한 11개의 난소암 화학요법 약물 내성 관련 miRNA를 발굴하였는데 그중에는 miR-130a, miR-214, let-7i, miR-125b, miR-376c, miR-199a, miR-93, miR-141, miR-130b, miR-193b* 및 miR-200c 등이 포함된다. miRNA 표적 유전자 예측용 소프트웨어 TargetScan을 이용하여 47 077개의 miRNA-표적 유전자 데이터를 발굴한 반면, PicTa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1 675개의 miRNA-표적 유전자 데이터를 발굴하였다. miRNA 조절 네트워크 내에서 뉴로필린 1(neuropilins, NRP1)은 가장 중요한 Hub-유전자였다. 결론: 이미 알려져 있는 miRNA로 miRNA 조절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난소암 다중 약물 내성 관련 유전자를 예측하는 것은 유효한 방법이다. NRP1은 난소암의 화학요법 약물 내성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난소암의 잠재적인 표적 치료 약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