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short-term planting of three transgenic Bt rice lines on soil microbial biomass and soil nematode assemblag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QI, Lin,CHEN, Fa-jun,LIU, Man-qiang,CHEN, Xiao-yun,ZHU, Xiang-yu,LI, Hui-xin,HU, F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형질전환 논벼(transgenic Bt rice)가 상업적으로 보급되기 전에 형질전환 논벼가 비표적(non-target) 토양생물에 대한 생태학적 위험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2010년 논밭에서 형질전환 논벼인 HH1, T2A-1, T1C-19의 재배 및 그에 따른 개체의 비형질전환(non-transgenic) 품종인 MH63의 재배를 통하여 토양의 미생물학적 성질 및 선충수, 군락구조와 생태학적 지표에 대한 반응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개체군에 비하여 형질전환 Bt 논벼인 화후이 1호(Huahui No1, HH1)는 토양 중 미생물 바이오매스 탄소(microbial biomass carbon, MBC)를 뚜렷이 증가하였고, 세 가지 종류의 형질전환 Bt 논벼가 토양 중 미생물 바이오매스 질소(microbial biomass nitrogen, MBN)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그러나 형질전환 품종 사이에서 T2A-1와 T1C-19를 재배 후 토양 중 MBN는 HH1로 처리한 것보다 뚜렷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군에 비하여 서로 다른 형질전환 Bt(투린지엔시스균, Bacillus thuringiensis) 품종은 토양 선충수, 양양류 군집의 조성, 식물 기생 선충의 성숙도 지수(plant parasite index, PPI)에 대하여 모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형질전환 Bt 논벼인 T2A-1와 HH1의 구조지수(structure index, SI)는 모두 뚜렷이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형질전환 Bt논벼는 토양생태계 구조와 기능에 단기적으로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설명한다. 더욱 긴 시간의 모니터링 및 Bt 독소를 측정하는 것은 형질전환 Bt 논벼가 토양 비표적 생물군락의 생태학적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131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ransgenic Bt rice,soil biota,microbial biomass,nematode assemblage,ecological risk,형질전환Bt 논벼,토양생물,미생물 바이오매스량,선충군집,생태학적 위험